예를 들어 A, B,C의 부하곡선을 주고 다음과 같은 문제가 주어졌을 때 소수점 계산방식은
어느 것을 택해야 하나요?
1. 합성최대전력은? 답 14KW
2. A, B, C부하의 일 평균을 구하라.
A: 계산결과 3.755 KW - 답 3.76KW
B: 계산결과 2.5KW - 답 2.5KW
C: 계산결과 3.35 KW - 답 3.35KW
3. 총부하율을 구하라
1) (3.755+2.5+3.35/14) *100=68.607% 답 68.61%
2) (3.76+2.5+3.35/14) *100=68.642% 답 68.64%
3번 계산시 1)과 2)중 어느것으로 해야하나요?
그리고 어떤문제의 계산결과가가 154000KVA인 경우 답을 반드시 154MV로 전환해야 하나요? KVA로 그냥두면 감점되나요?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1. 첫번째 질문에 대한 사항은 두가지 풀이 모두 맞는 해설입니다~ 문제에서 소수점 처리 조항을 정확하게 풀이과정에서도 어떤 식으로 적용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으면 그 조건에 따라야 하지만 소수점 3위에서 반올림하여 적용하면 되기 때문에 계산과정이든 계산 결과이든 소수점은 다른 조건이 없을 때에는 소수 3위에서 반올림하여 두가지 방법 중 한가지로 선택하여 적용하시면 됩니다.
2. 두번째 질문도 마찬가지인데 문제 조건에 단위가 주어진 경우에는 무조건 조건에 제시된 단위로 맞춰서 답안을 적어야 합니다. 가령 면 V인가? 이렇게 물어본 문제의 답안을 18kV 라고 적었다고 했을 때 18000V나 18kV 두가지 표현은 맞지만 문제에서 요구한 답안이 아니기 때문에 오답으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문제를 잘 읽고 조건에 주어진 사항을 자세히 검토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