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제어공학 4-273page 23,24번 질문입니다
김*정2022.02.09답변완료

23번에서 g값을 구할 때 루트2가 어떻게 나왔는지 모르겠습니다

24번에서는 B가 왜 +- 180인지 모르겠습니다

답변학습관리자2022.02.12 12:37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1. 복소수는 원래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눠서 실수부±j 허수부 로 표현하는데 이것을 절대값(크기)로 표현할 때 √{(실수부)^2+(허수부)^2} 으로 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1+j 는 실수부가 1, 허수부가 1이란 의미이므로 복소수의 절대값은 √{(1)^2+(1)^2}=√2 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2. 먼저 직각좌표 평면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가로축(x축)과 세로축(y축)을 그려서 가로축의 위치가 원점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1만큼 이동시키고 세로축의 위치는 그대로 0의 위치에 두게 되면 (-1, 0)의 위치가 설정이 됩니다. 그리고 이것을 그대로 복소수 평면으로 옮기게 되면 (-1, j0) 위치로 옮겨지는데 이 때 이 점의 위치는 90도를 두번 이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위치로 결국 각도로는 180도 또는 -180도 위치와 같게 됩니다.

좌표를 직접 그려서 해석하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복소수 평면을 그려보면 (-1, j0)의 위치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