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단락비 궁금한점이요
강*오2022.06.30답변완료

무부하에 전압만 흐르는데 그전압을 정격전압까지 올리는데 필요한 계자전류 A

 

3상 단락시 단락한 부분에 정격전류와 같은 전류가 흐르는데 필요한 계자전류B

 

단락비= A÷B

여기까지는 이해했는데요

 

Q1. 보통 무부하시 어쩌고 하면 단자쪽에 단락된것처럼 생각하고 저항이없으니 전류가 안흐른다고 하는데

단락비 A설명에는 무부하시 어쩌고 하면서 개방이 되었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면 저항은 공기절연이니까 엄청 큰 수 아닌가요?

Q2. 정격전류÷단락전류=단락비 이거 맞나요?

답변학습관리자2022.07.04 09:38

안녕하세요~~ 회원님^^

단락이란 부하의 양 단자 사이가 임피던스 또는 저항이 거의 영에 가까운 도선에 의해 접속되어 부하와 단락회로가 병렬로 회로가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경우 단락전류는 매우 큰 전류가 흐르게 되는 사고를 의합니다~

또는 무부하나 개방은 같은 의미로서 부하가 회로에서 분리되고 분리된 단자는 그대로 열려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 전류는 흐르지 않지만 무부하 상태에서 개방된 단자의 전압이 상승하게 되는 회로를 무부하 회로 또는 개방회로라 합니다~

따라서 단락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단락상태에서 단락전류가 정격전류로 흐를 수 있도록 계자를 조정할 때 계자전류 A와 무부하 또는 개방상태에서 무부하 단자전압이 정격전압이 될 수 있도록 계자를 조정하여 흐르는 계자전류 B를 이용하여 B/A로 계산한 값을 단락비라 합니다~

그리고 단락비는 단락전류/정격전류로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