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설계 06번 문제
질문 다시 드립니다.
해설에 나와있는
급전점 A : (30 + 20 +50)^2 * R 인데 여기서 30 20 50이 어디를 말하는건지, 즉
30 20 50 의 전류를 더해주는 것이 각 각 어디에서의 전류를 말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멀리 있는 D점 아래 부하로 50A가 흐르는데
이 부하로 오기 까지 일어난 전력손실이 (30 + 20+ 50)^2 * R 인건가요?
그럼 C점 아래 부하 20A에 일어난 전력손실은 (50+30)^2 * R 인고
B점 아래 부하 30A가 흐를 때 일어난 전력손실은 50^2 *R 이 아닌가요? 그럼 해설에서는
(50+20)^2 * R 이있는데 이건 무엇인가요?
감사합니다.
수험생님 안녕하세요?
예를 들어 급전점 A의 전력손실에서
C-D사이 전류가 고스란히 D로 인가되므로 C-D간 전류의 크기는 50[A]이며
B-C사이 전류가 C와 D에 나누어져 흐르므로 B-C간 전류는 20+50[A],
A-B사이 전류가 B와 C와 D로 나누어저 흐르므로 A-B간 전류는 30+20+50[A]가 됩니다.
각 구간별 전류의 따른 전력손실을 합친 값이 A 급전점에서의 전력손실 값이 되겠습니다.
수험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