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간선의 허용전류 관련 문제를 다룰때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00A를 초과하면 표준정격을 사용한다고 배웠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차단기 표준AT는 20,30,40,50,60,75,100,125,150,175,200,250,300,350,400,450,500,600,700,800인데, 차단기의 표준 AT = 과전류차단기의 정격전류 인지 궁금합니다. 다르다면 시험에 관련하여 알고 있어야 할 만큼의 정격전류 값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2) 1)과 관련해 수변전설비 필수문제 3번-(3)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부하전류 455.802A에 대한 AT를 600으로 선정했는데, 제가 알고 있는 차단기 표준AT에 따르면 455.802에 가까운 값은 500일텐데 왜 600인지 궁금합니다.
3) 차단기의 표준AF값으로는 400,630,1250,1500,1800으로만 알고 있습니다. 혹시 더 있다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수강생님 반갑습니다.
간선의 과전류차단기 산정시
만약 간선의 허용전류가 100A 를 넘을 경우에는 가장 가까운 상위의 정격의 것을 사용합니다
AF = 차단기가 견디는 강도 , 크기 외형으로 현재는 절연물질의 발달로 큰 의미가 없습니다.
AT = 차단기의 허용전류를 의미합니다. 즉 차단기에 적혀 있는 전류값[A] 를 의미합니다.
차단기의 정격전류산정시 VCB 또는 ACB 의 경우 현장 실무 검토값을 적용합니다
즉 600[A] 가 AT 기준이 됩니다. 부하의 정격보다 약간 높은 125% 정도를 선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500AT 가 있으면 좋으나 없기 때문에 600AT으로 적용시켰습니다. 그러나 실기는 답이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서술하셔도 무방합니다.
답: AT 500[A] 단 현장 실무값을 고려하여 이론값보다 높은 정격전류 산정
그 이유는 이론적인 값보다 높게 현장 설계가 들어간 것은 부하의 변동과 증설 가동시간 부하의 종류에 따라 과부하가 발생하기도 하며 설계시 가장 평균적으로 600[A] 이하 정도로 쓰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ACB 및 VCB 정격전류값은 그 범위가 다르므로 출제된 문제에서만 파악을 하고 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