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회 전기기사 실기 9번 문제 질문입니다.
보조회로를 완성하는 문제에서 풀이 강의를 보면 윤홍준 선생님께서 1,2은 자기유지라고 하셨고, 3,4은 인터록이라고 하셨는데 인터록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BS2의 버튼을 누르면 MC1이 소자되고 그와 동시에 T가 될텐데 4번 인터록은 의미가 없는거 아닌가요? 타이머를 통해서 설정 시간 후에 MC2가 여자 될텐데 굳이 저게 왜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인터록은 동시투입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넣어준 것으로 알고 있는데 타이머가 이미 동시투입을 방지해주는데 굳이 인터록이 있어야하나 궁금합니다. 그리고 타이머의 역할이 MC2의 여자를 하도록 하게 하는 거면 오히려 MC2가 여자된 후 타이머가 더이상 여자되어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소자되도록 4번 위치에 MC2-b 접점이 들어가야 하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우성 전동기 정, 역 운전에 사용되는 주접점은 무조건 인터록을 구성해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MC1 위의 접점은
MC2-b 가 들어가야 하며 또한 MC2 위에 MC1-b 접점이 들어가야 하지만 이 경우에 MC2를 여자시키기 위한
타이머를 대신 인터록을 걸기 위해 타이머 위에 MC1-b 접점을 설치한 회로도가 맞습니다.
인터록은 동시투입 시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 설치하는 접점으로 상 접속을 바꾼 경우에는 무조건
설치한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교재의 답안이 알맞게 작성되어 있습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