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제 4-118 예제2, 및 유사문제1,2 문제 풀이에 극좌표 곱에 대한 계산시 위상각을 빼서 답을 도출하였는데
교제 4-27 복소수의 연산에서 복소수의 곱과 나누기는 극좌표로 전환하여 곱일때 숫자는 곱하고 위상각은 더하고
나누기일때는 숫자는 나누고 위상각은 빼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질문. 문제풀이와 극좌표 연산에서 배운 내용과 결과물의 차이점은 왜 입니까?
안녕하세요. 교수님. 교제 4-118 예제2, 및 유사문제1,2 문제 풀이에 극좌표 곱에 대한 계산시 위상각을 빼서 답을 도출하였는데 교제 4-27 복소수의 연산에서 복소수의 곱과 나누기는 극좌표로 전환하여 곱일때 숫자는 곱하고 위상각은 더하고 나누기일때는 숫자는 나누고 위상각은 빼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질문. 문제풀이와 극좌표 연산에서 배운 내용과 결과물의 차이점은 왜 입니까? |
안녕하세요~~ 회원님^^
단순히 복소수의 연산을 의미할 때에는 곱할 때 더하고 나눌 때 빼주는 방법이 맞습니다~ 하지만 소비전력이나 유효전력에서 cosθ의 θ 의미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 또는 역률각이란 의미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 계산시 위상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위상의 빼기 연산)로 계산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