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위 11번 문제에서,
교류회로에서는 콘덴서와 코일에 교류전압, 교류전류가 지속 가해져 이들의 (+),(-)
극성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콘덴서와 코일에는 늘 전압과 전류가 급격히 변화하는 양
이라고 생각되는데, 왜 급격히 변화할 수 없는 것은 코일에선 전류, 콘덴서에서는
전압이라고 하는지 이해가 쫌 안됩니다.
제가 무엇을 잘 못 생각하고 있는 건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 내용은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인덕터 코일은 전압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전류의 변화가 임의의 시간동안 변화하여야 전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의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전류가 급격하게 변화한다면 코일에서는 전압의 발생 조건을 만족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코일에서는 전류의 변화가 급격히 변화하여서는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e=L{di/dt} 식이 위의 조건을 의미합니다.
콘덴서는 이와 반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조건이 전압의 변화가 임의의 시간동안 변화하여야 전류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의 변화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전압이 급격하게 변화한다면 콘덴서에서는 전류가가 흐를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콘덴서에서는 전압의 변화가 급격히 변화하여서는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i=C{de/dt} 식이 위의 조건을 의미합니다.
* 미분식이 변화율을 의미하는 수학적인 표현이므로 미분공식의 분자 성분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없는 성분으로 기억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