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다. 문제에서 '나' 조건으로 구하라는 말이 있는데, 그럼 '나'조건의 답인 2차출력 129.84[MVA], 역률 69.32%(진상)은 '다.'문제를 풀 때는 사용하지 않는 부분인 가요?
'다'문제를 풀 때는 '나'에서 나온 정답을 사용하지 않고 문제를 푸는 건가요?
질문2) 2차출력 계산할 때 진상이라서 '- j100x√(1-0.9^2)' 마이너스 j 를 넣어서 계산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전류 기준에서는 전류가 진상일때 +j , 전압 기준에서는 전압이 진상일때 -j 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복소 전력 기준에서는 복소전력 공식 Pa = V* I = V I* =P ± Pr [VA]에서 진상일 때 -jPr, 지상일 때 +jPr 인가요?
질문3) 문제에서 정격전압과 정격용량을 가진 3권선 변압기라고 적혀 있습니다.
그래서 1차용량, 2차용량, 3차용량 모두 정격 용량이고 기호는 Pn입니다.
%X=Pn/P에서 Pn이 정격용량이면, P는 기준용량입니다.
그런데 변압기 용량을 공부할 때 Pn은 정격용량의 기호로도 사용 되고, 기준용량의 기호로도 사용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보통, 기준용량과 정격용량이 함께 있는 식에서는 Pn이 정격용량을 의미하나요?
또한 왜 이 식에서는 Pn은 기준용량이 아닌 정격용량을 의미하나요?
반갑습니다.
1. 나의 조건으로 풀라는 이야기는 전체 문제에서 1번을 구한다음, 나에 콘덴서를 설치하면 출력과 역률이 변하는데 그조건으로 다를 구하라는 의미가 됩니다.
2. 전류는 지상이 -j 입니다. 전압을 지상임피던스로 나누어 보시기 바랍니다.
3. 정격이던 기준이던 사용되는곳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게 되지 정해져서 무조건 정격이다 무조건 기준이다 라는 것은 없습니다.
기호는 말을 쉽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해당문제는 %임피던스를 결정하는 기준용량이 다르므로 기준용량을 통일시켜주는 의미 입니다.
%임피던스는 용량에 비례한다는 것에 의미를 두어야지, 기호의 표현에 의미를 두고, 기준, 정격 구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