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 '기온이 25도일때 상대 공기밀도가 1' 의 의미가 상대공기밀도 공식에서의 기준온도가 25도라는 의미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럼 문제에서 기온을 제시 하지 않는 경우라면, 즉 기온이 문제에서 없으면 기준온도가 20도라고 생각하고 풀어야 하나요? 만약 주파수도 제공하지 않는다면 한국 상용주파수 60hz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푸는 건가요?
질문2) 날씨 계수는 맑은날 계수: 1, 맑지 않은날 계수: 0.8. 이 두가지 말고는 계수가 더 없나요?
전선 표면계수도 새 전선의 계수: 1이면, 오래된 전선의 계수는 보통 문제에서 제공해 주나요? 아니면 정해진 값이 있나요?
질문3) 코로나 손실 단위 [kW/km/1선]은 1선에 대한 코로나 손실입니다.
만약 송전선로 3상 3선식 전체의 코로나 손실이면 1선에 대한 코로나 손실 P * 3배입니다. 그럼 단위는 [kW]인가요? 아니면 [kW/Km/1선] 아니면 [kw/km/3선] 인가요?
질문4) 코로나 임계전압은 대지전압인가요? 코로나 임계전압이 대지전압이라서, 코로나 손실을 구할 때 선간전압(154kv)을 대지전압(154/√3)으로 바꿔서 코로나 임계전압(E0)과 함께 계산을 하는 건가요?
반갑습니다.
1. 상대공기밀도는 20도시 1기압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다만, 해당문제는 25도시를 1기압으로 한다고 조건을 변경한 것입니다.
2. 해당되는 값은 문제에서 주어집니다.
다만, 주어지지 않을 경우를 가정하면 0.8~1 사이로 봅니다.
3. 코로나 손실은 kW/km/1선 으로 유도하며, 그렇게 출제하며, 그렇게 답합니다.
4. 코로나 임계전압은 대지전압이다라는 개념이 아닙니다.
임계전압은 코로나 가 발생하는데 필요한 전압입니다. 그것을 유도하는 과정에 대입하는 전압의 값이 루트3으로 나눈 전압이 들어가는 것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