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Mof, CT, PT의 정격을 구할 때, 영향을 주는 3상 4선식 1차측 전압, 2차측 전압은 MOF의 아래에 있는 TR 변압기의 스펙을 봐야하나요?
아니면 MOF 위에 있는 인입선의 스펙을 봐야하나요?
CT비를 구할 때 변압기의 용량 300kVA를 이용하는 걸 보면, 변압기의 스펙을 이용해서 푸는것 같은데, 인입선의 스펙이 변압기와 같아서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pt비는 인입선 스펙으로 계산하고, CT비는 변압기 스펙으로 계산하나요?
질문 2) ct비는 변류기에 흐르는 과전류를 고려해서 때문에 여유율 주는데, pt비는 왜 여유율이 없나요? 과전압을 고려 하지 않나요?
질문3: PT비를 답안지처럼 루트로 표시하지 않고, 루트값을 계산해서 22900/√ 3= 13221.32 [V]
즉 PT비: 13221.32/110 로 적으면 오답인가요?
분수 위에 소수점이 있는 표현은 답으로 적기에는 부적절한 방식인가요?
차라리 (22900/√ 3) 형태로 적는게 더 적절한가요?
질문4) Mof는 원래 여유율 안하는데, 문제에서 여유율을 이렇게 제시하면 여유율을 고려 해주는건가요?
반갑습니다.
1. 스펙을 보는 것이 아닙니다.
계기용 변압기는 설치점의 전압을
변류기는 설치점의 전류를 구하는것입니다.
2. 고려하지 않습니다.
3. 오답입니다.
13221.32/110이라는 계기용 변압기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4. 조건이 주어지면 적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