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앞선 질문을 드렸던 내용에 대한 추가 질문입니다.
앞선 질문 내용
1. p.551 9번문항(2014년 3회 기출)
3상 4선식 송전선로의 전압강하를 구하는데 상계수가 1이 아닌 루트3을 넣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사진에 보시면 3상4선식의 전압강하 식에 상계수를 루트3으로 설명을 해주셔서요 이게 궁금합니다!
2. 이번에 홈페이지에 올려주신 2024년 2회 실기대비 전기산업기사 실전모의고사 문제 4번에 관한 질문입니다.
이 문제는 실기20개년 기출 문제집의 2016년 1회 7번문항/p627 과 같은 문항입니다.
교수님의 해설강의로는 (1),(2)번 문항을 발전기쪽 사고/변압기쪽 사고로 나누어서 값을 구한 후 더 큰 값으로 선정하셨는데요. 실전 모의고사 해설의 다른 교수님께서는 각각 구하지 않고 발전기쪽 사고로만 값을 구해서 선정하셨는데요.
어떤 해설을 따라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
1. 전압강하 공식에서 상계수는 단상일 때 *2, 3상일 때 *√3 을 곱해주셔야 합니다~ 다만, 단상일 때 저항값과 리액턴스값이 전선 한가닥일 때 *2를 해줘야 하며 2선 합성값으로 주어질 대에는 *2를 생략하셔야 합니다~
3상에서는 무조건 *√3 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2. 병렬운전하는 발전기의 차단기 용량을 구할때에는 해당 발전기측 %임피던스만 적용하셔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현재 G1발전기측 차단기 용량이 180MVA로 선정이 되어야 하는데 300MVA로 선정된 경우 고장 차단에 실패할 우려가 생기며 발전기 고장의 문제가 발생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