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전압강하 약산식 유도과정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꿀팁 강좌에서 아래와 같이 전압강하 약산식 유도과정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연동선의 고유저항 값이 1/58 이고, 교수님께서 유도해주신 약산식은
경동선 기준이므로 이 값에 도전율 97% 를 반영하여 1/58*100/97 로 하여
0.0178 값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처음부터 경동선의 고유저항을 이용하여
1/55=0.0182 로 계산하면되는데, 위와 같이 연동선의 고유저항에 도전율을
반영하여 약산식을 유도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실제로, 그 계산값이 큰 차이는 아니지만 약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0.0178 ~=0.0182)
교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리 동선은 사용 목적과 사용 장소에 따라 경동선과 연동선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이 때 동선의 저항을 계산하기 공식은 간단히 R=ρL/S 라는 공식으로 사용하는데 이 식에서는 도전율이 반영되지 않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경동선이나 연동선은 둘 다 도전율이 96~98[%] 정도로 설계되는데 이 값은 주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고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정확하게는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전기설비설계에 있어서 배전설계 계통에 적용하는 전압강하 약산식에서는 도체의 고유저항과 도전율을 모두 반영하여 전압강하 계수를 산출하였습니다~
이 값은 우리나라에서 적용하는 KEC 규격이기 때문에 암기하셔야 하는 값입니다~ 아무런 조건이 주어지지 않더라도 배전설계 전압강하 공식에는 35.6, 30.8, 17.8 계수를 암기하셔서 적용해 주시고~
특히 실기시험에서 이 공식을 유도하라는 문제가 나온적이 있어서 그 값이 나온 과정중에 고유저항과 도전율을 어떻게 반영하여 나온 값인지 설명한 내용이니 이 과정도 기억하고 계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