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전압강하 개념정리를 했는데, 맞는 개념인지 질문드립니다.
2024.09.23답변완료

개념1. 일반적인 송,배전용 전압강하 공식. 이 공식은 약산식이 아니다.

 

개념2. 전압강하 약산식. 약산식 기준은 역률 Cosθ=1. 리액턴스를 무시하는것이 역률이 1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역률 cosθ=1 이면  sinθ=0 이다. 전압강하 공식에 대입하면, e=IR, e=2IR, e=√3IR 약산식으로 바뀐다.

전압강하e와 전선의 굵기 A 관계식 (e= 17.8 *LI/1000*A) 이것도 약산식이다.

 

 

개념3. 문제에서 선로의 리액턴스는 무시, 문제에서 역률 조건은 따로 없다.

이 경우에는 리액턴스 X=0. sinθ=X/Z=0/Z=0. 이다. 역률 조건은 따로 없기 때문에 sinθ=0이면 Cosθ=1 이다. 즉 역률은 1이다.

역률이 1이면 전압강하 약산식 사용 가능하다.

단상 3선식 전압강하 약산식은 e=IR. 을 이용해서 문제를 푼다.

e=IR 공식을 이용해서 (60*0.06 - 4*0.06)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라서 마이너스를 한다.

Vab=100-(IR-IR)= 100- (60*0.06 - 4*0.06) =96.64 [v]

 

 

 

개념4. 정전용량 C , 리액턴스 X 무시. 역률 0.8 제공. 이럴 경우에는 역률이 1이 아니기 때문에 약산식 사용 불가능.

3상 전압강하 일반 공식 e=√3I(RCOSθ + XSINθ) 에서 리액턴스 X=0, 대입.

(역률이 0.8이면 sinθ는 0이 아니라  0.6이다. 리액턴스 X만 0이다.)

 e=√3I*RCOSθ 를 이용해서 문제를 푼다.

 

 

혹시 제가 생각한 개념이 맞나요?

 

질문1) 문제 22번 에서 '케이블의 정전 용량 및 리액턴스 등은 무시한다.'  의미가, 정전용량 C=0,  리액턴스 X=0. 인가요?

아니면 용량성 리액턴스 Xc=0, 유도성 리액턴스 XL=0.  리액턴스 X= XL-Xc=0. 이걸 의미하는 건가요? 

 

 

질문2) 전압강하 약산식은 옥내배선에서의 전압강하를 구할 때 사용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압강하 약산식 조건에서 전선의 도전율은 97%입니다.

도전율 97%는 경동선의 도전율입니다. 옥내배선에서는 보통 연동선을 사용하지 않나요?

옥내배선에서도 경동선을 사용할 수 있어서 약산식 도전율 조건이 97%인가요?

답변김대호2024.09.25 01:13

반갑습니다. 아래는 오류 입니다.

 

개념3. 문제에서 선로의 리액턴스는 무시, 문제에서 역률 조건은 따로 없다.

이 경우에는 리액턴스 X=0. sinθ=X/Z=0/Z=0. 이다. 역률 조건은 따로 없기 때문에 sinθ=0이면 Cosθ=1 이다. 즉 역률은 1이다.

역률이 1이면 전압강하 약산식 사용 가능하다.

 

-----> 리액턴스를 무시하는 경우도 역률이 주어지는 경우 있습니다. 문제는 조건에 따라 풀어야 합니다.  개념3의 문제는 역률를 다 고려하여 풀이한 것입니다. 

 

답변1) 무시한다는 이야기는 0이다 로 보는 것이 아닙니다. 0이라면 단락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 합니다. 고려하지 않는다로 이해해야 합니다. 

 

답변2) 옥내배선의 전압강하가 아니라, 간선의 전압강하 입니다. 

변압기로부터 배전반까지 간선부분을 말하는 것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