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콘덴서의 직렬, 병렬 연결에 따른 +, - 부호의 이유가 궁금합니다.
2024.10.04답변완료

 

 

질문1) 문제에서 '조상기' 의미는 보통 '동기 조상기'를 의미하나요?

동기 조상기는 L, C  즉 지상, 진상 무효전력 둘 다 조정할 수 있는데,

조상기의 기호가 C니까 '조상기=전력용 콘덴서' 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맞는 개념인가요?

 만약 조상기의 기호가 L 이면 분로리액터가 되는건가요?

 

질문2) 콘덴서가 직렬 연결이면 임피던스 부호가 마이너스이고, 콘덴서가 병렬 연결이면 부호가 +인데, 혹시 이유가 무엇인가요?

혹시 임피던스 식 Z= R+j(XL-Xc)와 관련이 있나요?

 

만약에 맞다면 Z가 직렬 연결이면 Z= -2jXc의 부호처럼 -인데, 병렬이면 왜  +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R=0, jXL=0 으로 가정하고 Z=-jXc일때  Z 2개를 직렬 연결이면 Z=-2jXc라서 부호가 그대로 마이너스이고,

병렬 연결 해도  -j0.5Xc가 나와서 직렬, 병렬 연결 둘 다 부호가 마이너스라서 뭔가 잘못된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14번 문제는 콘덴서가 병렬 연결이라서 %X가 + 입니다.

 

 

15번 문제에서는 콘덴서가 직렬연결 이라서 -%Zc 마이너스 부호입니다.

콘덴서의 직렬, 병렬 연결에 따른 +, - 부호의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김대호2024.10.07 12:47

반갑습니다. 

1. 조상기 : 동기조상기로 볼수 도 있고 조상설비로 볼수도 있습니다. 이 단어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의 그림과 조건등으로 L C를 파악합니다. 

 

2. 회로이론에서 배운 유도리액턴스의 개념과 용량리액턴스의 개념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15번은 C이며 -%, 14번은 +%로 문제에서 주어졌습니다. 

병렬과 직렬에 따라 + - 를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해당문제는 강의에서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설명한 강의 부분에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을 질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