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단상 2부싱변압기 1차측 중성점 부동의 이유 교재내용이 맞는건가요??
정*균2024.10.05답변완료

교재에는 부동하는 이유를

1차측 1상의 cos가 차단될경우 변압기가 역v결선이되어 과부하로 소손될 우려가있다고 나와있는데

 

다른 곳에서는

지락 또는 단락등에 의해 결상이 될경우 건전상의 전위상승이 평상시보다 루트3배가되어서 기기소손이 된다고합니다.

 

무엇으로 암기해야할까요?

답변김대호2024.10.07 12:40

전력계통에서의 **결상사고(缺相事故, Phase Loss Fault)**는 전력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상(phase)이 끊어지거나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3상 교류 전력계통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결상사고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결상사고의 원인
 
•선로 단선(Line Breakage): 전력 공급 선로에서 하나의 선이 끊어지는 경우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특정 상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서 다른 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퓨즈 단락(Fuse Blown): 보호 장치로 사용되는 퓨즈가 과전류, 과부하 등의 문제로 인해 끊어지면 결상사고가 발생합니다.
•접촉 불량(Bad Connection): 전선이나 배선의 접속부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결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압기 내부 결함(Transformer Fault): 변압기 내부의 결함으로 인해 특정 상의 전력 전달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2. 결상사고의 결과 및 영향
 
결상사고는 전력계통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며, 특히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하 불균형(Unbalanced Load): 결상사고가 발생하면 각 상에 걸리는 부하가 불균형해지고, 남아 있는 두 상의 전압이 변동하면서 전압 변형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3상 모터와 같은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터 손상 및 과열(Motor Damage and Overheating): 3상 모터는 균형 잡힌 3상 전원을 필요로 합니다. 결상사고가 발생하면 모터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과열되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압 강하 및 불안정(Voltage Drop and Instability): 결상으로 인해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불안정해지면 전기 장비의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장비가 오작동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시스템의 비정상 동작 및 정지: 결상사고는 계통 전체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발하여, 공장이나 산업시설 등에서의 시스템 정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결상사고의 탐지 및 보호
 
결상사고를 탐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결상 보호 계전기(Phase Loss Relay): 결상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보내거나 계통을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과전류 보호 계전기(Overcurrent Relay): 결상사고로 인해 남은 두 상에 과전류가 흐를 때 이를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합니다.
•균형 보호 장치(Balance Protection Device): 3상 전력의 균형을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불균형이 감지되면 경고 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합니다.
 
4. 결상사고의 예방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 전력계통의 선로, 접속부, 보호장치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결상사고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합니다.
•고품질 부품 사용: 신뢰성 높은 전선, 퓨즈, 접속부 등을 사용하여 결상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줄입니다.
•적절한 보호장치 설치: 결상사고를 즉시 감지하고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 계전기 및 보호 장치를 설치합니다.
 
결상사고는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고 유형 중 하나이므로,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대응하는 시스템 구축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지락 또는 단락 등에 의한 결상....? 무엇을 말하는지 알수 없는 문장입니다. 위 내용을 잘읽고 결상에 대한 이해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