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교수님,
단락비를 학습하며, 정격 전류가 E/Zn으로 구해진다고 적혀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정확히는 E/(Zs+Zn)이 되어야, 즉 동기 임피던스도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정격전류가 되는 게 아닐까하는 호기심에 질문드립니다. 단락 전류를 구할 때는 분명 E/Zs를 사용했는데 말이죠. 회로에 부하 임피던스가 존재할 때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동기 임피던슨은 무시해서 그런건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
여기에서 E[V]의 의미가 발전기의 출력단의 상전압을 의미하며 출력단에 걸리는 전압은 발전기 상을 포함하지 않는 선로측 또는 부하측 전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격전류란 전부하전류 또는 부하의 정격전류를 의미한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단락이 생기기 전에 부하에 흐르던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하여 단락시 단락전류는 부하가 이탈된 상태로서 부하임피던스가 최소 또는 거의 0에 가깝게 될 때 흐르는 전류를 의미하기 때문에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하여 단락시 %임피던스는 부하를 무시한 단락된 지점에서 전원측에 포함된 %임피던스만을 적용하여 계산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