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공칭전압, 차단용량 개념, 역률 개선전과 개선후 질문드립니다.
2025.02.28답변완료

 

 

질문 1) 문제에서 제시하는 전압은 공칭전압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 조건에서 3상 3선식 공칭전압 6000v 인데, 왜 표에서 공칭전압 6600v를 기준으로 구하나요?

전력퓨즈는 차단기처럼 공칭전압보다 더 큰 정격전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6000V보다 큰 공칭전압을 기준으로 삼아서 정격전류를 찾는건가요?

아니면 공칭전압 3000V로 기준을 삼으면 퓨즈가 타서 소손되기 때문에 6000V보다 큰 공칭전압 6600V를 기준으로 삼는건가요?

 

질문2) 이 개념이 맞는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차단기 용량 공식에서 공칭전압을 사용안하고, 정격전압을 사용하는 이유가 차단용량은 단락사고의 용량인 단락용량보다 같거나 커야합니다.

그런데 차단용량에서 공칭 전압을 사용하면 차단용량 크기 =단락용랑 크기가 됩니다.

즉 같거나 커야 하기 때문에, 공칭전압 보다 더 큰값인 계통최고전압을 차단용량에 적용해야합니다.

이때 계통최고전압의 크기=정격전압 크기 이기 때문에 차단용량에서는 정격전압을 사용해야 합니다. 맞는 개념인가요?

 

 

 

질문3) *0.42 값이 (tanθ1-tanθ2)의 값인가요?

*콘덴서 용량(단위 KVA)은 변압기 용량(단위 KVA)이 아니기 때문에 표준용량이 아닌, 계산값 25.2 KVA를 답으로 작성하는 게 맞는거죠?

답변김대호2025.03.05 13:02

반갑습니다. 

1. 6000은 공칭전압이 아니며 6kV 급으로 공칭전압은 6.6kV입니다.

2. 차단기의 정격전압을 사용하는 이유는 정격이기 때문입니다. 정격이란 차단기가 동작을 행하는데 이상없이 동작할때 견딜수 있는 최고 전압입니다. 이 전압을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3. 0.42는 (tanθ1-tanθ2)의 값 맞습니다. 콘덴서도 실무적으로는 규격을 선정해야 합니다. 다만, 문제가 선정하라는 조건이 없을 뿐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