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을 올렸었는데
답변을
근궤적은 제어계의 특성방정식의 근의 이동궤적을 도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한대~+무한대 범위를 도시하는 근궤적을 완전근궤적이라 합니다.
이 중에서 +무한대의 범위를 일반적인 근궤적이라 하며 -무한대의 범위를 대응근궤적이라 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근궤적이라 함은 +무한대의 범위인 일반근궤적을 의미하므로 따로 K의 범위를 주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무한대의 범위를 가르키는 일반 근궤적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열공하세요^^
이렇게 달아주셨거든요!!
근데 답변이 잘이해가 안가서요 ㅠㅠ
그러면 강의처럼 rl과 crl의 위치는 바뀔수있지만 범위에 따라 홀짝이 다르니까
홀수번째는rl, 짝수번째는 crl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결국 위아래 그림이 전부 다 맞는거죠?)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질문의 요지를 잘 못 알고 답글을 올렸네요. 죄송~~~^^
근궤적의 범위가 궁금하신 거군요.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극점과 영점의 총수가 홀수개인 경우 홀수의 범위에 RL 궤적의 범위가 되며 극점과 영점의 총수가 짝수개인 경우 짝수의 범위에 RL 궤적의 범위가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극점+영점=4 개이므로 짝수범위가 RL, 홀수의 범위가 CRL
극점+영점=3 개이므로 홀수범위가 RL, 짝수의 범위가 CRL 범위가 됩니다.
이제 이해 되셨지요^^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