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1) 입력환산의 의미가 KW -> KVA로 단순 환산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계산할 때 수용률은 적용 안하는 거죠?
이때 입력환산 된 KVA 계산값은 변압기 용량이 아닌 설비용량의 피상전력을 의미하나요?
변압기 용량 공식에서는 수용률을 적용하는데, 여기서는 수용률을 적용하지 않아서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질문2) 입력환산을 할 때 [P=Pa*역률]공식 때문에 역률을 나누는 게 이해가 가는데 왜 효율도 함께 나누나요?
설비용량 혹은 변압기 용량 단위를 KW -> KVA로 바꿀때 역률과 효율을 함께 나눕니다.
공식 [효율=출력/입력] 인데, 설비용량과 변압기 용량이 전동기, 부하, 전등의 변압기 용량(설비용량) 이기 때문에 효율을 나누는 게 맞나요?
그럼 이때 문제 조건에서 나오는 설비용량 혹은 변압기 용량이 350KW일 경우 350KW는 출력을 의미하나요?
예시) 설비용량 입력[KVA]= 설비용량 출력 350[kw]/(역률*효율)
전동기는 전기를 입력해야 동작이 되니까 효율을 나누고, 발전기는 전기가 생산되서 출력으로 나오니까 효율을 곱합니다.
변압기 용량을 구할때 효율을 나누는 이유는 이 변압기가 전동기, 전등, 부하기기의 변압기라서 전동기 용량 공식처럼 효율을 나누는건가요?
예시) 발전기의 변압기 용량 공식 출력= 효율*입력.
전동기의 변압기 용량 공식 입력=출력/효율.
반갑습니다.
1. 문제는 표를 완성하는 것이며, 부하 집계및 입력환산표 입니다. 수용를을 적용하여 적는다는 내용이 표에 없습니다.
또한 단위도 표에 주어진 단위로 구해야 합니다. kVA는 부하를 입력으로 환선하여 피상전력으로 변경한것입니다
2. 변압기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합니다. 효율이 부하의 효율이면, 부하를 효율로 나누어 입력을 구해야 합니다.
변압기에 연결되는 것은 부하의 입력부분에 연결됩니다.
효율이 무엇의 효율인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