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지상역률일 때 무효전력의 부호 질문 드립니다.
2025.05.14답변완료

 

 

이 문제를 풀때 복소수 형식으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이때 역률이 지상일 때, 무효전력의 부호가 마이너스(-Pr)가 맞나요?

계산식: 부하용량=400-j300. 콘덴서 용량: +j150 (콘덴서는 진상이기 때문에 부호를 +jPr로 설정.)

 500^2=(400+P1)^2+(-300+150)^2

 

 

아니면 복소 전력 공식처럼 +, -  부호 둘 다 사용이 가능하고, +, - 그중에서 하나를 정해서 부호를 정하는 것인가요?

 

1) 부하의 역률이 지상일때, 무효전력의 부호: Pa=P-jPr [VA].

2) 아니면, 복소전력 공식:  Pa = V* I = V I* =P ± Pr [VA] 에서  부하의 역률이 지상일 때, 무효전력의 부호를 마이너스 (-jPr)로 정한다면, 이때 진상일 때 무효전력의 부호는 +jPr. 입니다. 

그리고 부하의 역률이 지상일 때 무효전력의 부호를 +jPr로 정한다면, 진상일 때 무효전력의 부호는 -jPr로 정하고 푸는 건가요?

즉, 지상역률일 때 무효전력 부호를 -,+ 둘 다 사용 가능하다. -와 + 둘 중에 하나를 정해서 무효전력의 부호로 사용하면 된다.

 

1)과 2) 중에 맞는 개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답변김대호2025.05.15 16:46

반갑습니다. 

복소수 형식으로 풀때는 

전류를 기준으로 하면 진상은(+), 지상은 (-) 입니다. 

다만, 전력을 구할때는 전압과 전류의 공액차이로 인해 허수부의 부호가 반대로 됩니다. 

이경우는 콘덴서 용량을 지상용량에 반대로 해주면 됩니다. 

지상용량이(+)이면, 콘덴서는 (-)

지상용량이(-)이면, 콘덴서는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