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델타결선 단선 전, 후 소비전력 질문드립니다.
2025.06.12답변완료

 

*3상=코일 3개, 1상=코일 1개.

 

 

질문1) 코일1개=R저항1개=저항 R에 걸리는 1개의 상전압 Vp='단상'을 의미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때 델타결선 코일 1개(R이 1개)는 단상 변압기 1차측, 2차측 코일 1쌍을 의미하나요?

즉, 저항 기호 코일(R) 1개= 단상 변압기의 1차측, 2차측 코일 각각 1개(총 코일2개).

이게 맞는 개념인가요?

 

 

 

질문2) 합성 저항 R0을 구한다면 회로에 저항 코일 기호는 1개 뿐입니다.
즉, 단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래서 단상 전력 공식인 [E^2/R0] 공식으로 구하는거죠?

아니면 단선 이후에는 상전압 E가 1개 뿐이여서 단상 전력공식을 사용하나요? 

상의 개수를 저항의 개수로 판별하는지, 상전압의 개수로 판별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문제 조건에서 선간전압은 'E'라고 적혀있는데, 계산식을 작성 할 때, 선간전압을 'V'로 적어서 문제를 풀거나,

문제 조건에 없는 전류 'I'를 적어서 (단상 소비전력 P=I^2*R) 계산과정을 작성 하면 오답이 되죠?

문제 조건에는 E와 R만 존재합니다.  [소비전력 P=I^2*R] - 이 공식은 직렬회로에서 사용하고, 병렬회로에선 사용 못하는 공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질문 3) 기호 P/P'는 오타인거죠? P'/P 가 정확한 기호죠?

단선 전 소비전력 P가 분모. 단선 후 소비전력 P'가 분자.

 *A에 비하여 B일 경우=A에 대한 B =B/A

즉, 단선전 소비전력에 비하여~ 의미: 단선 후 소비전력 P'/단선 전 소비전력

 

 

 

질문4) 단선 후 소비전력 구하는 방법: [저항 R 단상의 전력 공식+ 저항 2R 단상의 전력 공식]으로 풀어도 되나요?

 

(*교재처럼 합성저항을 구하는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풀어봤습니다. 이 방식으로 풀어도 답은 교재와 동일하게 나옵니다.)

 

근데 상전압이 1개면 상이 한 개라서 단상 아닌가요?

상전압 1개이고, R코일 1개, 2R코일 1개. 총 저항 코일이 2개이면, 이때는 단상으로 보나요? 아니면 단상이 2개가 있는 2상의 회로라고 보나요?

상의 개수와 상전압의 개수와 비례하는지, 아니면 저항 코일(R)의 개수와 상의 개수가 비례하는지 궁금합니다.

교재처럼 합성저항 R0 1개, 상전압 E 1개 -> 단상회로 이렇게 생각하면 논리가 맞습니다.

 

질문5) 문제가 '~관계식을  설명하시오' 인데

정답: [1/2] 이것만 적어도 정답으로 인정이 되나요?

(*예를 들면 서술형으로 길게 만든 정답: 단선 전 소비전력에 비해서 단선 후는 1/2배 감소한다.

혹은 단선 전 소비전력에 비해서 단선 후는 1/2배가 된다.)

 

혹시 [1/2]가 아닌, [정답: 1/2]만 적거나, 혹은 [정답: 0.5]만 적어도 정답으로 인정이 될까요?

 

답변김대호2025.06.13 16:50

반갑습니다. 

1. 우선 전원의 결선과 부하의 결선을 구분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문제는 부하의 결선인데, 이것을 전원의 변압기로 환산하여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 부터 다시 생각하셔야 합니다. 

부하는 부하 입니다. 

 

2. 합성저항은 등가저항입니다. 이것 때문에 단상으로 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전원에서 공급되는 한선이 끊어졌으므로 3상이 성립되지 않고, 단상이 성립되는 것입니다. 

상의 갯수로 판별하는 것이 아닙니다.

문제를 풀때는 문제에서 주어진 기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기호를 사용하면 오답이 됩니다. 

해당공식은 병렬이던 직렬이던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류를 구하는 값이 달라질뿐입니다. 

 

3. 오타 입니다.

 

4. 같은 풀이 입니다. 합성저항으로 구하나, 따로 구해서 합하나 동일합니다. 

끊어진후는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은 단상입니다.

 

5. 1/2배, 1/2배로 된다, 모두 맞습니다. 

다만, 1/2은 = 0.5 이므로 1/2배와는 다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