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미지에 있는 전기 용어 관련 질문들에 대해 답변해 드립니다.
지락사고시 지락회선 선택차단은 좋지 않은 답안입니다. 어떤 것이 지락되었는지가 없습니다.
'다회선 배전 선로(多回線 配電 線路)'는 '여러 회로로 구성된 배전 경로'라는 완전한 기술 용어입니다. '다회선(多回線)'은 이 문맥에서 '다회선 배전 선로'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 충분히 통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보기에 따라 다른 의미도 있을 수 있으므로 공부할때는 정확하게 공부하는 연습을 하기 바랍니다. 줄어쓰는것은 공부할때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그 의미를 그대로 표현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회선', '선로', '전선'은 의미가 다릅니다.
회선(回線, Circuit): 전력을 공급하거나 신호를 전송하는 하나의 완전한 전기 회로 단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1회선'은 일반적으로 3상(R,S,T) 전선 세트를 의미합니다.
선로(線路, Line): 전선, 지지물(전봇대 등)을 포함하여 전기가 지나가는 물리적인 경로 전체를 의미하는 넓은 개념입니다.
전선(電線, Wire/Cable): 전류가 흐르는 물리적인 선 한 가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회선 > 선로 > 전선
순서로 점차 구체적인 대상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회선'은 '전선' 그 자체라기보다는 기능적인 '회로'의 의미가 강합니다.
'2회선'과 '2선식'은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2회선(2-Circuit): 동일한 경로에 독립된 회로가 2개 있다는 의미입니다. 안정성을 위해 주로 사용되며, 3상 기준으로 총 6가닥(=3가닥 x 2세트)의 전선이 필요합니다.
2선식(2-Wire System): 하나의 회로가 2가닥의 전선으로 구성된다는 의미입니다. 주로 단상 교류(활선+중성선)나 직류(+,-)에서 사용됩니다.
'무효 전력량계'와 '무효 전력계'는 측정 대상이 다릅니다.
무효 전력계(Var meter): 특정 순간의 무효 전력(단위: Var)을 측정합니다.
무효 전력량계(Varh meter):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된 무효 전력의 총 양(量)을 측정합니다. (단위: Varh) 이름에 '량(量)'이 붙으면 시간의 개념이 추가된 것입니다.
질문하신 그림의 ①번이 **WH(Watt-Hour, 유효 전력량계)**인 것을 보면, ④번 역시 시간당 사용량을 측정하는 **'무효 전력량계'**가 짝을 이루는 것이 자연스럽고 정확한 답입니다.
계측기 설계 시에는 MOF(계기용 변성기)에 WH(유효 전력량계)와 VARH(무효 전력량계)를 조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명칭을 쓰는 부분은 약어로 작성하면 안됩니다. 요구하는 것을 적여야 합니다.
약어를 쓰시오 라는 말이 없다면, 당연히 풀네임, 명칭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