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사리 1차관문을 통과하고 실기에 대비해서
과년도 기출문제를 풀어볼려고 하니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드림니다...
1, 20-3회
15번문제에서 22900 /380 -220(V) 30(KVA)변압기 라면 어떻게 읽으며,
어떤것이 상전압이고, 선간전압이라는 설명이 전혀 없어 문의드림니다...
2. 20=3회
16번 3번문항에서 LA수량 3개는 알겠는데 정격전압 18KV는 어디서 나왔는지???
설명이 부족한것 같고
3. 21-1회
2번 문제 6번문항에서 변류비를 구할때 200은 어디서 나왔는지????
4, 표준설계도면도에서 접지하는 표시는 어떤 도면은 1L 와 3L을 접속시켜주고
또 어떤 도면은 P 중성선과 같이 접지시키는데 무슨 원칙이 있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림니다...
비 전공자로서 공부를 접하다보니 아주 기초적인 전기 상식도 많이 부족하고 어려움이
많아 질문드림니다....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비전공자로서 실기 공부를 시작하며 마주치는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으시군요. 처음에는 누구나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하나씩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질문 주신 내용들에 대해 하나씩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변압기 명판 읽는 법: 22900 / 380-220(V) 표기에서 상전압과 선간전압 구분 방법
피뢰기(LA) 정격전압: 22.9kV 계통에서 LA 정격전압이 18kV로 선정되는 이유
변류비(CT비) 산정: 계산 과정에 나오는 특정 수치(예: 200)의 근거
도면 표시등 결선: 표시등 결선 방식이 1L-3L 또는 P-중성선으로 다른 이유
질문하신 22900 / 380 - 220 (V)
는 3상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 전압을 나타내는 매우 일반적인 표기법입니다.
22900V (22.9kV): /
앞의 숫자는 1차측 선간전압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표준 배전계통 전압입니다.
380 - 220 (V): /
뒤의 숫자는 2차측 전압을 나타내며, 이는 3상 4선식 Y결선을 의미합니다.
380V: 2차측 선간전압 (Line to Line Voltage) 입니다.
220V: 2차측 상전압 (Phase Voltage) 입니다.
Y결선에서는 선간전압이 상전압의 √3
배가 되는 관계(V_L = √3 × V_P
)가 성립합니다. 실제로 계산해보면 220V × √3 ≈ 381V
로, 380V와 거의 일치합니다. 따라서 이 명판을 보고 **"1차측 선간전압 22.9kV를 2차측 선간전압 380V, 상전압 220V로 변환하는 변압기"**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배전선로인 22.9kV Y결선 다중접지계통에서 사용하는 배전선로용 피뢰기(LA)의 정격전압은 18kV입니다.
이것은 규정으로 정해진 값으로, 반드시 암기해야 할 중요한 수치입니다.
이 값이 선정된 이유는, 22.9kV 다중접지계통에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비접지 계통보다 낮게 억제됩니다. 18kV라는 정격전압은 이러한 계통 특성을 고려하여, 평상시 및 사고 시의 전압 상승에는 견디면서 뇌서지와 같은 이상전압은 안전하게 대지로 방전시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값으로 표준화된 것입니다.
(참고: 동일한 22.9kV 계통이라도 변전소에 사용하는 피뢰기는 21kV를 선정합니다. 문제에서 '배전선로'인지 '변전소'인지에 따라 구분해야 합니다.)
문제에서 200V로 체강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200은 변류기가 설치된 지점의 전압입니다.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로는 정확한 답을 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