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산업기사 실기 대다원정리에서 챕터 23인 간선설비와 전선의 굵기와 차단기 에서
1. 445페이지 18번 문제에 (2)에서 asss는 규정에 적혀 있으니 암기한다해도
컷아웃 스위치는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교수님이 풀이를 계산기에 적었는데
200*10^3 나누기 루트3 *22900 = 원래라면 정답에 8이 나와야 하는 데
이상하게도 5가 나왔습니다.뭔가 정답이 맞지 않습니다.
그리고 100AF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두 개의 답이 나온건지 설명해주세요.
2. 이건 제가 이건 아직 확실하게 알지 못해서 그런건데
피뢰기를 보면
공칭방전전류 정격전압
5000A 75(72),24,21
2500A 18
이게 맞는 건가요?
3. zct 영상 변류기에서 같이 사용하는 게 gr인데 sgr인 경우도 있더라고요.
둘 중 어느 게 정답인가요? 그냥 둘 다 정답인가요?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수험생께서 계산하신 값은 '부하 전류'이며, 문제에서 묻는 것은 기기 자체의 '정격전류'입니다. 이 둘은 다른 개념입니다.
ASS (Automatic Section Switch, 고장구간자동개폐기)
정격전압: 25.8kV는 22.9kV 배전선로에서 사용하는 개폐기의 표준 정격입니다.
정격전류: ASS의 정격전류는 ASS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상시전류를 의미하며, 이는 표준 규격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00A 또는 400A 규격품을 사용합니다.
문제의 답안에서 제시된 200A는 이 기기 자체의 표준 정격전류입니다. 수험생께서 계산하신 값은 TR#2(200kVA) 변압기의 1차측 부하전류(5.04A)로, 이는 ASS 내부의 과전류 감지 소자(트립 장치)의 설정값(탭 전류)을 정하는 데 참고하는 값이지, ASS 자체의 정격전류가 아닙니다.
COS (Cutout Switch, 컷아웃스위치)
100AF, 8A의 의미: 이는 COS의 정격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표기법입니다.
AF (Ampere Frame, 프레임 전류): 100AF는 COS 몸체(애자 등)가 기계적, 열적으로 견딜 수 있는 최대 전류 용량을 의미합니다. 100A는 COS의 표준 프레임 규격입니다.
A (Ampere Trip, 정격 전류): 8A는 COS 내부에 삽입되는 퓨즈 링크(Fuse Link)의 정격전류를 의미합니다.
이 퓨즈 링크의 용단 전류에 의해 과부하 및 단락으로부터 변압기를 보호합니다.
TR#2(200kVA)의 1차측 전부하전류가 약 5.04A이므로, 변압기 여자돌입전류 등을 고려하여 여유를 주어 표준 정격인 8A 퓨즈 링크를 선정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ASS의 정격전류 200A는 기기 자체의 표준 규격이며, COS의 8A는 보호 대상인 200kVA 변압기의 부하전류를 고려하여 선정한 퓨즈 링크의 정격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22.9kV-Y 다중접지 배전선로에서 사용하는 피뢰기의 정격은 다음과 같이 선정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정격전압: 18kV
22.9kV 계통은 중성점 다중접지 계통이므로 1선 지락사고 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낮습니다. 따라서 선간전압(22.9kV)보다 낮은 18kV 정격의 피뢰기를 사용하여 뇌서지 등 이상전압에 대해 더 신속하고 민감하게 동작하도록 합니다.
공칭방전전류: 2500A (2.5kA)
피뢰기의 공칭방전전류는 설치 장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변전소 등 대규모 설비에는 10kA급을 사용하지만, 문제의 도면처럼 일반 수용가의 인입구 등 배전선로에 시설하는 피뢰기는 2.5kA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도면의 ② 위치에 시설되는 피뢰기는 18kV, 2500A 정격품을 선정하는 것이 올바른 답입니다.
영상변류기(ZCT)는 지락사고 시 발생하는 영상전류(Zero-sequence current)를 검출하는 장치입니다. ZCT로 검출된 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계전기는 모두 지락계전기(GR, Ground Relay)입니다.
GR (지락계전기): 영상전류가 설정값 이상 흐르면 동작하는 계전기의 총칭입니다.
SGR (선택지락계전기, Selective Ground Relay): 여러 회선이 있는 배전선로에서 지락사고 발생 시, 사고가 발생한 회선만을 선택하여 차단하는 방향성을 가진 지락계전기입니다.
SGR은 영상전류(ZCT)뿐만 아니라 영상전압(GPT)도 입력받아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로 고장 방향을 판별합니다.
결론적으로, SGR은 GR의 한 종류입니다.
시험에서 단순히 'ZCT와 조합하여 지락을 검출하는 계전기'를 묻는다면 GR (지락계전기) 이라고 답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정답입니다.
만약 문제의 조건에서 '다회선 선로'이고 '고장 회선 선택 차단'과 같은 선택성이 강조된다면 SGR (선택지락계전기) 이 더 정확한 답이 될 수 있습니다.
모든 답은 문제를 보고 문제를 기준으로 판단하지 지금처럼 가정하여 묻는다면 정확한 답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정확한 답변을 위해서, 질문시 하나의 게시물에 하나의 질문을 하셔야 하며, 반드시 문제와 같이 질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