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모르겠습니다.
이*민2025.09.17답변완료

전기산업기사 실기 단원별 정리에서 434페이지 8번 문제를 보면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전선의 굵기를 구할 때 17.8LI/1000e라는 공식를 사용하면 되는데

문제는 e값이 380*0.05가 아니라 220*0.5라고 되어있더라고요.

220값이 어디서 나오나 싶었는데 380/루트 3을 하면 딱 220이 나오더군요.

혹시 e값은 상전압을 말하는 건가요?

 

답변김대호2025.09.18 12:48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3상 4선식 380/220V 회로에서 전선의 굵기를 구하는 약식 A = 17.8LI / 1000e를 사용할 때, 허용 전압강하 e의 기준 전압이 선간전압(380V)이 아닌 상전압(220V)인 이유에 대한 질문으로 이해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해당 공식에서 허용 전압강하(e)는 부하에 인가되는 상전압(220V)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전선 굵기 약산식의 이해

학생분께서 언급하신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A = 17.8 × L × I / (1000 × e)

 

이 공식은 본래 단상 2선식 배선에서의 전압강하를 기준으로 전선의 굵기를 계산하기 위한 약산식입니다. 여기서 계수 17.8은 구리 전선의 고유저항을 고려하고 전류가 왕복(2가닥)하는 것을 감안한 값입니다.

 

3상 4선식에서의 적용

3상 4선식(380/220V) 배전 방식에서는 두 가지 형태로 부하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3상 부하 (주로 동력 부하): 3개의 상(R, S, T)에 모두 연결하며, 이때 부하에 걸리는 전압은 선간전압인 380V입니다.

 

단상 부하 (주로 전등, 콘센트 부하): 3개의 상 중 하나와 중성선(N)에 연결하며, 이때 부하에 걸리는 전압은 상전압인 220V입니다. (380V / √3 ≈ 220V)

 

문제에서 사용된 공식(17.8...)은 단상 2선식 기준이므로, 이는 3상 4선식 회로에서 하나의 상과 중성선을 사용하는 단상 부하에 대한 전선 굵기를 선정하는 상황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의 기준 전압은 당연히 부하에 직접 걸리는 상전압 220V가 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