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3회 6번의 2째 문항에서 최소 접점수를 갖는 논리식을 쓰라는 문항에서
공통으로 묶어서 불대수적용을 해보니 도저히 나오지 않읍니다...
카르노 도표를 이용해서도 해 보아도
이해가 되지않아 질문드림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수있는 방법은 없나요???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논리식 간소화 방법 (예시)
어떤 논리식의 출력이 X = A'BC + AB'C + ABC' + ABC 와 같이 주어졌다고 가정하고, 이를 최소 접점으로 표현(간소화)하는 방법을 두 가지로 설명하겠습니다. (여기서 ' 는 NOT을 의미합니다.)
1. 불대수(Boolean Algebra)를 이용한 간소화
불대수의 기본 정리를 이용하여 항을 줄여나가는 방식입니다.
주요 공식:
풀이 과정:
X = A'BC + AB'C + ABC' + ABC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공통 항을 묶거나, 중복되는 항을 추가하여(A = A+A 이용) 식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ABC 항을 추가하여 정리해 보겠습니다.
따라서 최종 간소화된 논리식은 X = AB + BC + AC 가 됩니다.
2. 카르노 맵(Karnaugh Map)을 이용한 간소화
변수가 3개이므로 2x4 또는 4x2 표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간소화하는 방식입니다.
풀이 과정:
A\BC |
00 |
01 |
11 |
10 |
0 |
|
|
1 |
|
1 |
|
1 |
1 |
1 |
위 두 가지 방법으로 간소화한 결과는 X = AB + BC + AC로 동일합니다. 불대수 법칙이 익숙하다면 직접 간소화할 수 있으며, 복잡한 논리식의 경우 카르노 맵을 이용하면 시각적으로 더 쉽게 묶어서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수험생께서는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숙달하여 문제 유형에 따라 더 빠르고 정확한 방법을 선택하여 풀이하는 연습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