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원정리 694페이지 2번 문제를 보면 영상전류가 50A라고 되어있습니다.
(IA+IB+IC)/3=50이라는 뜻인데
전자유도전압의 공식을 보면 JWML(IA+IB+IC)=JWML*3I0(지락전류)을 보면
(IA+IB+IC)/3=50이니까 (IA+IB+IC)=150을 대입해야 하지 않나요?
왜 50을 그냥 대입하나요?
그리고 공식을 보면 길이를 대입해야 하는데
상호인덕턴스가 0.06(MH/KM)라서 거리를 곱해줘야 한다는 듯이 설명하셨거든요?
원래 거리는 곱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
만약 상호인덕턴스의 단위가KM가 없다면 거리는 곱해주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1선 지락사고 시 통신선 유도전압 계산 문제에 대해 문의하셨습니다. 질문의 요지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주어진 '영상전류 50A'가 I0 인지 3I0 인지, 둘째, 상호 인덕턴스의 단위에 따른 길이(l)의 적용 방법에 대한 것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이 정확합니다. 하지만 문제 풀이 과정에서 혼동이 없도록 용어를 명확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영상전류 (I0 ): 대칭좌표법에서 정의되는 영상분 전류로, I0 =(Ia +Ib +Ic )/3 입니다.
지락전류 (Ig ): 1선 지락사고 시 지락점을 통해 대지로 흐르는 실제 고장 전류를 의미하며, 그 크기는 3I₀입니다.
유도장해 유발 전류: 통신선에 전자유도 전압을 발생시키는 원인 전류는 3상 전류의 벡터 합인 (Ia+Ib+Ic)이며, 이는 곧 지락전류인 3I₀와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문제에서 "영상전류 50[A]"라고 주어진 값은 영상분 전류, 즉 I_0 = 50[A]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자유도 전압 공식에 대입해야 할 유도장해 유발 전류의 크기는 3*I0 = 3*50 = 150[A]가 됩니다.
공식은 Em =−jωMl(3*I0 ) 로 표현하고, 계산 과정에서는 ... × 3 × 50 으로 대입하였습니다. 이는 I0 에 50을 대입하여 3I₀를 정확하게 계산한 것이므로 올바른 풀이입니다.
단위 길이 당 상호 인덕턴스 M [H/km]: 문제에서처럼 상호 인덕턴스의 단위가 [mH/km] 또는 [H/km]로 주어지면, 이는 단위 길이(1km) 당 상호 인덕턴스 값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체 병행 구간의 총 상호 임피던스를 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병행 길이(l)를 곱해주어야 합니다.
총 상호 임피던스 Zm [Ω]: 지난번 질문의 경우처럼 문제에서 "상호 임피던스"가 [Ω] 단위로 주어졌다면, 이는 이미 주파수(ω)와 병행 길이(l)가 모두 계산에 포함된 최종 임피던스 값이므로 길이를 곱하지 않습니다.
총 상호 인덕턴스 M [H]: 만약 문제에서 단위가 /km 없이 그냥 [mH] 또는 [H]로 주어졌다면, 이는 병행 길이 전체에 대한 총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길이를 곱하지 않고 주파수(ω)만 곱하여 임피던스를 계산합니다.
결론적으로, 상호 인덕턴스의 단위에 /km가 포함되어 있다면 반드시 병행 길이를 곱하고, 단위에 /km가 없다면 곱하지 않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0.06 [mH/km]로 주어졌으므로 병행 거리 30 [km]를 곱하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