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전기 시퀀스 도면에서 사용되는 약호 'MC', 'PWR', 'P'와 그에 해당하는 명칭 '전자접촉기', '파워 릴레이', '전력계전기'의 정확한 사용법과 시험 채점 기준에 대해 질문하신 것으로 이해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국가기술자격검정 실기시험에서는 각 약호에 해당하는 표준 명칭을 정확하게 작성해야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전자접촉기(MC)와 전력계전기(P, PWR)는 기능과 용도가 다른 별개의 기기이므로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질문 1, 2: 약호 MC와 PWR의 명칭
약호 MC일 때, '전자접촉기'만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MC: Magnetic Contactor의 약자로, 표준 명칭은 '전자접촉기' 입니다. 주회로의 대전류를 개폐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전자석 개폐기입니다. 시험에서 '파워 릴레이'나 '전력계전기'로 작성하면 오답 처리됩니다.
PWR: Power Relay의 약자로, 표준 명칭은 '전력계전기' 입니다.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다른 기기에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영문 발음 그대로 '파워 릴레이'라고 작성하는 것도 채점 기준에 따라 정답으로 인정될 수 있으나, 가장 정확하고 표준적인 답안은 '전력계전기' 입니다. '전자접촉기'라고 작성하면 명백한 오답입니다.
질문 3: 네모 박스 안의 P와 PWR
네모 박스 안에 'PWR'이 적혀 있어도 '전력계전기' 심벌이 됩니다.
네모 박스 안에 'P' 라고만 적혀 있는 심벌은 '전력계전기(Power Relay)' 를 의미하는 것이 맞습니다.
실제 도면이나 시험 문제에서는 전력계전기를 'P' 또는 'PR', 'PWR' 등으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 등 다른 'P' 약호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PWR 역시 전력계전기 심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질문 4: 전력계전기 심벌(P)의 답안 작성
오답입니다.
문제에서 'P' 심벌의 명칭을 물었다면 정답은 '전력계전기' 입니다.
'파워릴레이'는 채점 기준에 따라 정답으로 인정될 여지는 있으나, 가장 확실한 정답은 '전력계전기'입니다. '전자접촉기'라고 작성하면 명백한 오답입니다. 두 기기는 기능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