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제14강 전력용콘덴서 공식(tan세타2)과 Qc의 표기 착오 여부 확인
이*희2025.10.10답변완료

교수님께서 역률개선이 피상전력의 감소로 무효전력의 개선결과로 설명하신 것으로

인하여 그림과 공식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콘덴서의 자체 작용 역률개선량은 그림과 달리 전Q의 0(x축)에서 下方向으로 그리셔야

 P * tan세타2 가 되지 않을가요? - 이점이 교수님이 그리신 것과 차이가 납니다.

 

김대호 교수님의 꼭나오는 유형 "역률개선"[131쪽~132쪽] 설명하시는 것과 차이가 

있어서 의문을 달아 올립니다.

김대호 교수님께서는 무효전력 개선한 결과로 피상전력의 여유분 발생으로 설명하신 걸로 

이해했습니다만 확인코저 합니다.

이상입니다.

답변학습관리자2025.10.13 11:26

안녕하세요~~ 회원님^^

역률개선의 원리는 리액터분의 무효전력(이것을 지상무효전력이라 표현하여 전력벡터도에서 4상한에 그리는 이유입니다)을 보상하기 위해 용량성분의 무효전력(진상무효전력이라 표현하여 +허수축에 표현합니다)을 추가하면 전체 무효전력의 감소로 피상전력이 감소학 되고 이로서 역률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역률=유효전력/피상전력

역률이 개선된다고 해서 유효전력이 증가되지는 않습니다. 단순히 무효전력만 개선될 뿐입니다.

원래의 리액터분의 무효전력은 -허수축으로 그리고, 콘덴서 무효전력은 +허수축으로 그리기 때문에 무효전력이 감소하게 되며, 과보상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래의 무효전력에서 콘덴서 무효전력 만큼을 제외한(마이너스) 새로운 무효전력이 4상한으로 그려지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부하에 변압기 용량(피상전력)이 공급된다면 역률을 개선할 경우 결국 부하의 피상전력이 감소되어 변압기 용량에 여유가 생기게 되고, 이로서 새로운 부하를 변압기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증설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는 의미가 부여되는 것입니다~

아마도 설명의 차이가 있더라도 틀린 내용이 아니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