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전력공학] 3장 송전선로의 특성값 계산 - 출제예상문제
김*동2018.06.18답변완료

아래 동일 작성자의 질문과 관계있는 질문에 대해 답변 요청 드립니다.

3장의 송전선로 특성값 계산을 하면서 문제에서 3상3선식, 단상2선식과 같은

송전선로의 종류(?)에 대해 문제에서 주어지는 경우를 빈번히 경험하였습니다만

위와 같은 종류의 명확한 기준 및 기초 이론이 부족하여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출제 No.10 : 3상3선식 송전선로의 선전류 & 1선당 저항이 주어짐,

                     전력손실 구하는 문제

   => 3선식이라는 말을 통해 1선당 저항의 병렬연결을 생각하고 합성저항을 구하여

         전력손실을 구하는 공식에 대입

 

 - 출제 No.41 : 345[kV] 2회선 선로의 선로길이, 송전용량계수 주어짐

                      송전용량을 구하는 문제

   => 용량계수를 통해 송전용량 구하는 공식에 각각의 값을 대입하였지만

         2회선이라는 것을 생각하지 못해 2를 곱하지 못했음

 

* 3상이라 함은 각각의 선로에 위상이 다르다는 것이 맞는 개념인가요?

* 위상이 다르다면 역률값 또한 다른가요?

* 1선식, 2선식, 3선식의 명확한 개념은 어떤건가요?

* 문제에서 2회선이라하면 철탑에 가공된 똑같은 조건이 주어진 선로가 2개 있는건가요?

   명확한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학습관리자2018.06.18 13:58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송전선로 전력손실 구할경우 전선 1가닥의 저항값을 주어지기 때문에 한가닥의 전력손실을 구하여 3배 하여주면 됩니다~ 3상 결선을 병렬로 해석하시면 안되는 이유는 3상은 각각의 전원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변압기 3대를 이용하는 경우를 보면 결선은 Y 또는 델타결선을 할수있지만 독립된 전원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직렬, 병렬 접속으로 볼수가 없습니다~ 

상이라 함은 간단히 철심에 코일을 감는 경우 그 독립된 코일의 전원 또는 부하를 하나의 상이라 합니다~ 그리고 3상이 평형일때 각사의 역률값은 동일하며 전기방식의 기본은 2선식부터 구성합니다~ 단상 2선식이 기본 회로 구성방법입니다~ 그리고 단상 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 전기방식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회선이란 위의 전기방식을 2개 회로로 구성했다는것이며 철탑을 보시면 왼쪽 암에 수직으로 3선을 송전하고 또 오른쪽 암에 또하나의 3선을 송전하여 2회선이라 합니다~

열공하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