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기기사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전기설비설계23번 문항 비접지 고압측과, 고저압 혼촉사고와 관련된 문항입니다.
1.(2)의 문항중 R_g를 구하는 과정에서 2차측 저압전로의 중성점의 접지저항을 구하는데, 고압측의 1선지락전류인 I_g를 대입한 이유는 혼촉 사고로 인하여 2차측의 중성점 접지가 1선지락 사고처럼 작용하는데 문제에서 지락저항은 무시한다고 하였으므로 문제의 그림처럼 각상의 정전용량만을 고려한 그림으로 I_g를 나타내고 그때의 1선 지락전류인 I_g를 대입하였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위와같은 이유가 아니라면, 어떤이유인지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강사입니다^^
비접지 계통에서는 선과 대지사이에 작용하는 값은 대지정전용량 뿐입니다. 따라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지락전류는 3선의 대지정전용량이 병렬접속된 상태로 전체 정전용량인 3C값에 대한 리액턴스 값이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3wCE^2이 되는 거죠. 여기서 E값은 대지전압으로 3상인 경우 결선과 관계없이 대지전압은 선간전압을 루트3으로 나눠서 계산하기 때문에 결과식은 루트3*wCV^2식으로 유도됨을 알 수 있습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