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총 전기설비 용량이
왜 상용에 하계, 동계 모두 더한값인건가요??
하계와 동계는 둘중 큰 값으로 고려해서 총 전기설비용량을 정하고 변압기 용량하는게 아닌가요?
2.
그리고 궁금한게
(1)번에 나와있는 수용률은 (2)번에서 동계동력구할 떄, 수용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왜 (3)번을 풀때는 (2)번에 주어진 역률까지 생각해서 푸는건가요?
저는 다 연관된줄알고
(2)에 동계동력구할 때, 9.4에 수용률 0.6곱하고 역률0.8 나눈다고 생각했거든요...
어떤건 연관되고 어떤건 연관안되고 어떻게 구분하는거죠,.
질문에 답변 드립니다.
질문 : 총 전기설비 용량이 왜 상용에 하계, 동계 모두 더한값인건가요??
하계와 동계는 둘중 큰 값으로 고려해서 총 전기설비용량을 정하고 변압기 용량하
는게 아닌가요?
답변 : 충분히 혼동이 될 소지가 있습니다. "총 전기설비용량"을 좁게
해석한 것입니다. 변압기 용량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부하의 총 전기
설비용량으로 해석하여 구한 것입니다.
질문 :(1)번에 나와있는 수용률은 (2)번에서 동계동력구할 떄, 수용률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왜 (3)번을 풀때는 (2)번에 주어진 역률까지 생각해서 푸는건가요?
답변 : (1)번에서 수용률을 곱한 이유는 "수용부하라고 하는 것은 수용률을 고려한
부하용량을 구하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2)번에서는 역률값을 주면서, 단위를 피상전력의 단위인 [kVA]를 주었
습니다. 그래서 역률을 나누어 준 것입니다. 부하용량을 kW로 주고 kVA를
물어보면 역률로 나누어 줘야 합니다.^^
수험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