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버튼

마이페이지

Message Board

[온라인강의] 단락전류 계산할때 합성 임피던스 구하기
곽*철2019.03.01답변완료

18년도 전기기사 실기 1권 기준

1) 전기설비설계기준 필수문제 19번의 1번과 2번문제 관련

1번 문제에는 지락전류만 계산하여 CT를 2차전류가 DG에 흐르는것으로 계산했고

2번 문제에는 지락전류와 A상 선전류를 계산하여 그 합계로 CT 2차전류를 계산했습니다.

동일한 CT 2차측에 흐르는 전류값인데 왜 다른것인가요? 

 

2) 전기설비기술기준 필수문제 17번에는 합성임피던스를 구할 때 %X1과 %X3를

병렬로 연결된 것으로 계산하여 합성임피던스를 구합니다.

하지만 필수문제 20번에는 임피던스 ZB를 구할 때 전원부 방향쪽의 임피던스만 더하여

합성임피던스를 구합니다. 왜 이런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3) 각 단원별 담당 선생님이 누구신지 모르겠습니다...어느분께 질문들 해야하는 것인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김민혁2019.03.02 11:03

안녕하세요? 수험생님. 김민혁 입니다. 질문에 답변 드립니다.

테이블스펙: 이승원교수님

전기설비설계 : 이승원교수님, 홍성민 교수님

시퀀스 및 PLC : 윤홍준 교수님.

조명 및 심벌 : 김민혁 교수

수변전 설비 : 김민혁 교수 입니다.

 

제가 일단은 답변 드리겠습니다.

질문 : 18년도 전기기사 실기 1권 기준

1) 전기설비설계기준 필수문제 19번의 1번과 2번문제 관련

1번 문제에는 지락전류만 계산하여 CT를 2차전류가 DG에 흐르는것으로 계산했고

2번 문제에는 지락전류와 A상 선전류를 계산하여 그 합계로 CT 2차전류를 계산했습니다.

동일한 CT 2차측에 흐르는 전류값인데 왜 다른것인가요? 

답변 : 동일한 CT비 이지만, 각 상에 흐르는 전류가 다릅니다. 그렇니 당연히

CT 2차측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A상에서 지락사고가

났다면, A상에는 원래흐르던 부하전류와 지락전류의 합계가 흐르는 것이고, 반면에

건전상인 B상과 C상에는 원래 흐르던 부하전류만 흐릅니다.

 

2) 전기설비기술기준 필수문제 17번에는 합성임피던스를 구할 때 %X1과 %X3를

병렬로 연결된 것으로 계산하여 합성임피던스를 구합니다.

하지만 필수문제 20번에는 임피던스 ZB를 구할 때 전원부 방향쪽의 임피던스만 더하여

합성임피던스를 구합니다. 왜 이런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수험생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