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5주완성 3-40페이지 85번 문제를 보면, 무부하로 운전 중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0 = I_a + I_f 상태에서 운전 중이었다는 말이 되어 I_a = -I_f 가 됩니다.
한편, 해설에 나온 바와 같이 N = k*(V - R_a * I_a)/phi 에서 V = I_f * R_f 이므로 N = k*(I_f * R_f - R_a * I_a)/phi = k*2*I_f*(R_f + R_a)/phi 가 됩니다. 여기서 계자회로가 단선이 되면 I_f=0 이 되어 분자도 0이 되고 분모도 0이 되므로, N은 특정할 수 없는 값이 됩니다.
문제에서 만약 전부하로 운전 중이었다면 I_a = -I_f 라는 조건이 붙지 않으므로 전동기의 속도가 무한대로 가는 상황이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무부하로 운전 중에는 위와 같이 계산이 되는데, 제 계산 어디가 틀린 것인지, 어느 부분에서 잘못된 지식이 있는건지 지적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원님^^ 이승원 강사입니다~
전동기는 발전기와 달리 부하가 전기자 축에 연결이 되기 때문에 무부하란 의미는 전기자 전류가 0이란 의미가 되며 무부하라 하더라도 전원이 접속된 이상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흐게게 됩니다. 이 때 I=If로 흐르게 되는데 이 때의 전류를 보통 무부하 전류라 표현하게 됩니다. 무부하 전류는 자속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전류값으로 그 크기가 매우 작지만 0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기억하셔야 하며 속도 식에서 전원 전압 V값은 전원을 제거하지 않는 이상 절대 0이 되지 않는다느 것도 함께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