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고하십니다
아래 계산에서 정격전류가 허용전류 x 2.5 해서 이 값을 넘으면
허용전류 x 2.5 한값을 정격전류로 하라고 나온거 같은데,,,
아래 2.75를 곱한건 자룔르 찿아서 아는데,,
계산후 175를 선정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73.73 x 2.5 = 184.325 이라서 2.75 곱한값과같은데,,,
따라서 184.33이 선정 되어야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 담당강사입니다.
말씀하신 부분은 바로 필기에서 배운신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부분에 있습니다. 필기과정에서 저압옥내간선의 시설 부분 있습니다.
분기회로부분에서 과전류차단기는 부하측 전선의 허용전류의 2.5배 이하인 정격전류의 것을 선정하여야 합니다.
즉 위에서 전선의 허용전류는 67.03A*1.1배*2.5배 = 184.33A 이하인 것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과전류차단기는 184.33A라는 제품을 판매하지 않습니다. 즉 184.33A보다 낮은 과전류차단기 용량을 선정해야 하는데 내선규정 3115-7에 의거하여 선정됩니다.
과전류차단기가 B종 퓨즈일경우
20A,30A,40A,50A,60A,75A,100A,125A,150A,200A,250A 등이 있습니다.
과전류차단기가 A종 퓨즈 또는 배선용차단기일 경우
20A,30A,40A,50A,60A,75A,100A,125A,150A,175,200A,250A 등이 있습니다.
농형유도전동기에 투입되는 A종 또는 배선용차단기에 해당하므로 답은 175A가 되는 것입니다.
이 문제의 문제점은 내선규정 3115-7의 차단기 허용전류표를 제시를 했어야 합니다. 그러나 시험출제상 과전류차단기의 용량정도의 기준을 알고 있다라는 전제하에 문제가 출제된 것 같습니다. 즉 실무를 어느정도 알아야 차단기 용량은 이정도제품이 있으니까 답은 이거지에 ~~ 라고 바로 적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단 만약에 그 전선의 허용전류가 100A를 넘을 경우로서 그 값이 과전류차단기의 표준정격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값에 가장 가까운 상위의 정격의 것을 선정할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전동기 기동전류에 따른 순간 과도전류에 대한 단시간 과전류 내량이 전선이 두꺼워 질수록 여유가 있기 때문에 상위의 값을 사용하여도 된다는 의미입니다. 이럴경우에는 답은 200A가 될수도 있겠죠~~ ^^
그러나 지금문제는 허용전류가 100A를 넘지 않기 때문에 175A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