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2회대비]전기(산업)기사실기 정규이론 종합반 > 강규대
글쓴이 김*혁 등록일 2018.05.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질문 1)

    전환 = 절체 같은 말이라고 들었습니다. 

    개폐기 = 스위치 같나요? 누가 같다고 그러던거 같던데. 정확하질 않아서 질문올립니다.

    전환스위치 = 절체스위치 = 전환개폐기 = 절체개폐기 4개다 같은말이에요?

     

    질문 2)

    2013년 3회 12번 문제 인입전원은 위상전원을 사용한다가 무슨 의미인가요?

    그리고

    문제에 주어진 답안과 제가 그린 답안이 의미가 다른가요? PB-off가 자기유지회로 안으로 들어가 있던데.. 답안은

     

     

  • 학습관리자 |(2018.05.10 20:34)

    안녕하세요?^^  윤홍준강사입니다.

     

    1. 전환과 절체는 동일하게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스위치와 개폐기는 그 뜻

    에 대해서 범위가 차이가 있습니다. 개폐기는 다양한 기구들을 포함하는 용어로

    차단기 또한 하나의 개폐기로 표시하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스위치는 개폐기의 일

    종에 속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위상전원의 사용이란 교류 3상전원을 사용한다는 말입니다. ^^ 크게 신경쓰실

    필요가 없으실 듯 합니다.

    정역변환회로의 경우 다양한 조건에 따라 결선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해당문제는 실제 시험에서 결선의 틀이 주어졌으며, 접점만을 넣는 문제로 답안과

    같은 결선을 그리기도 할 수 있다는 하나의 기출표본입니다.

    하지만, 특별한 조건이 없이 OFF버튼의 갯수에 따라서 정역변환회로의 결선도는

    달라질 수 있으며, 전체를 총괄할 수 있는 OFF버튼을 눌렀을 때의 동작에 따른

    램프의 변화를 보면, 또다른 결선이 나올 수 도 있습니다.

    따라서 교재의 다양한 정역변환회로를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언제든 궁금한 사항은 게시판에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