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1) 소비전력의 의미가 무조건 유효전력을 의미하는 건 아닌가요?
보통 유효전력=부하전력=소비전력=평균전력 [W] 으로 알고 있습니다.
소비전력 구하는 문제의 단위가 [W]면 소비전력=유효전력으로 구하고,
문제의 단위가 [Var]이면 소비전력=무효전력으로 구하고, 단위가 [VA]면 소비전력=피상전력으로 구하나요?
만약에 2번 문제에서 '다음 회로에서 소비하는 전력은 몇 [VA]인지 구하시오. 라고 적혀 있으면, 소비전력을 유효전력이 아닌, 피상전력 Pa로 구해야 하는 건가요?
질문2) 소비전력을 왜 선간전압, 선전류로 구하지 않고, 상전압, 상전류로 구하는건가요?
혹시 문제에서 역률이 없어서 상전압, 상전류로 소비전력을 구하는건가요?
소비전력 P=√3*VL*IL*cosθ [W] (선간전압, 선전류를 이용해서 유효전력 공식)
보통 문제를 풀때 문제 조건에서 역률이 없다면, 역률=1이라고 생각해서, Cosθ =1을 대입해서 풀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선간전압, 선전류, 역률=1을 대입해서 소비전력을 풀면 정답이 안 나옵니다.
이 문제는 왜 상전압, 상전류로 구해야 하나요?
질문3) 소비전력 P=3*Ip^2*R [W] 이 공식으로 문제를 풀어 봤습니다.
이때 Y결선 Ip(상전류)=IL(선전류)=Vp^2/Z=(200/√3)/√(24^2+32^2)=2.89 A가 나옵니다. (반올림했습니다.)
소비전력 P=3*2.89^2*24=601.35 [W]인데, 교재의 정답과 1.35[W]의 오차가 발생합니다.
오차가 있어도 정답으로 가능한가요?

(*상전류 Ip는 임피던스 Z로 나누는게 아니라, 유효분 저항 R로 나눠야 하는게 아닌가요?)

그리고 Y결선에서 상전류 Ip=선전류 IL을 구할 때, 왜 Vp^2을 임피던스 크기 Z로 나누나요?
소비전력=유효전력[W]이면 저항 R의 크기로 나눠야 하는게 아닌가요?
저항R에서 실질적인 유효전력이 발생하지 않나요?
유효분 R과 무효분 X 모두 포함하는 임피던스 Z의 크기를 이용해서 상전류, 선전류를 구해야하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혹시 전류는 저항R에만 흐르는 전류가 아닌, 저항R과 인덕턴스 X 전체에 전체에 흐르는 전류,
즉 임피던스 전체에 흐르는 전류이기 때문에 Y결선의 상전류 Ip(=선전류)를 구할 때, 임피던스 Z로 나누어야 하는 건가요?
그리고 저항에서의 소비전력 [W]은 저항 R에서만 발생하는 유효전력이기 때문에 임피던스 전체(무효분 X+유효분R)에 흐르는 전류 Ip와 유효분 저항 R 만을 고려해서 계산하는 건가요?
(임피던스 전체에 흐르는 상전류Ip와는 다르게, 소비전력은 무효분 X는 제외)
-
김대호 |(2025.06.13 16:29)
반갑습니다.
1. 소비전력의 단위를 보시기 바랍니다. 단위가 W이면 유효전력입니다. 단위를 보고 구하는 것 맞습니다.
VA라면 당연히 피상전력입니다.
2. 1상의 전력을 구해 3배를 하기 위함입니다.
선간전압과 선전류로 구할 경우 풀이가 더 복잡해질수 있습니다. 역률은 단위에 관계되는 것이지 풀이에 관계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 문제의 역률은 1이 아닙니다. 임피던스가 24-j32이므로 역률은 24/루트(24^2 +32^2) 으로 구해야 합니다. 당연히 1로 하면 틀립니다.
3.문제를 구간으로 나누지 말고, 하나의 결과식에 모두 대입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타가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전류를 구할때 저항으로 나누면 저항양단에 전압이 들어가야 합니다.
당연히 임피던스양전의 전압과 저항 양단의 전압은 같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동일한 전압을 넣을 경우는 틀린답이 됩니다.
이유는 전압이 저항과 리액턴스가 직렬로 연결되면 전압이 분배되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