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94 17번 문제에서 해설이 근궤적의 범위는 -3~0이라고 적혀있는데, 개루프 전달함수의 극이 -3(2개), 0으로 존재하니까. s 평면상에서 0~-무한까지 실수축에 근궤적이 존재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또 그때 근궤적의 이탈점 후보군 s=-1, s=-3이 있었는데 왜 -3은 이탈점이 되지 못하는것인가요?
학습관리자 |(2025.07.18 17:41)
안녕하세요~~ 회원님^^
극좌표에 극점 3개를 놓게 되면 원점에 하나, 그리고 -3에 두개의 극점이 설치되기 때문에 -무한대와 -3 사이가 하나의 근궤적의 범위가 되며(홀수 위치), 그리고 -3이란 점의 위치는 짝수 위치로서 대응 근궤적의 범위로 설계되며 -3과 원점 사이가 두번째 근궤적의 범위로 정해집니다. 물론 원점에서 +무한대의 범위는 다른 하나의 대응 근궤적의ㅣ 범위가 되는 것이지요~
따라서 -3의 위치는 완전 근궤적의 범위에 속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이해하셔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