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전기산업기사 기출문제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산업기사실기 20개년 기출문제 > 김대호
글쓴이 전*호 등록일 2025.08.29 답변상태 답변완료
    • 어렵사리 1차관문을 통과하고 실기에 대비해서

      과년도 기출문제를 풀어볼려고 하니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드림니다...

      1, 20-3회 

         15번문제에서  22900 /380 -220(V)  30(KVA)변압기 라면 어떻게 읽으며,

          어떤것이 상전압이고, 선간전압이라는 설명이 전혀 없어 문의드림니다...

      2. 20=3회 

         16번 3번문항에서 LA수량 3개는 알겠는데 정격전압 18KV는 어디서 나왔는지???

         설명이 부족한것 같고

      3. 21-1회

         2번 문제 6번문항에서 변류비를 구할때 200은 어디서 나왔는지????

      4, 표준설계도면도에서  접지하는 표시는 어떤 도면은 1L 와 3L을 접속시켜주고

         또 어떤 도면은 P 중성선과 같이 접지시키는데 무슨 원칙이 있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림니다...

      비 전공자로서 공부를 접하다보니  아주 기초적인 전기 상식도 많이 부족하고 어려움이

      많아 질문드림니다....                   감사합니다...

       

  • 김대호 |(2025.08.30 01:25)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비전공자로서 실기 공부를 시작하며 마주치는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으시군요. 처음에는 누구나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하나씩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질문 주신 내용들에 대해 하나씩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질문 요약

     

    1. 변압기 명판 읽는 법: 22900 / 380-220(V) 표기에서 상전압과 선간전압 구분 방법

    2. 피뢰기(LA) 정격전압: 22.9kV 계통에서 LA 정격전압이 18kV로 선정되는 이유

    3. 변류비(CT비) 산정: 계산 과정에 나오는 특정 수치(예: 200)의 근거

    4. 도면 표시등 결선: 표시등 결선 방식이 1L-3L 또는 P-중성선으로 다른 이유


     

    1. 변압기 명판(22900 / 380-220V) 읽는 법

     

    질문하신 22900 / 380 - 220 (V)는 3상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 전압을 나타내는 매우 일반적인 표기법입니다.

    • 22900V (22.9kV): / 앞의 숫자는 1차측 선간전압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표준 배전계통 전압입니다.

    • 380 - 220 (V): / 뒤의 숫자는 2차측 전압을 나타내며, 이는 3상 4선식 Y결선을 의미합니다.

      • 380V: 2차측 선간전압 (Line to Line Voltage) 입니다.

      • 220V: 2차측 상전압 (Phase Voltage) 입니다. 

    Y결선에서는 선간전압이 상전압의 √3 배가 되는 관계(V_L = √3 × V_P)가 성립합니다. 실제로 계산해보면 220V × √3 ≈ 381V로, 380V와 거의 일치합니다. 따라서 이 명판을 보고 **"1차측 선간전압 22.9kV를 2차측 선간전압 380V, 상전압 220V로 변환하는 변압기"**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2. 피뢰기(LA) 정격전압 18kV의 근거

     

    우리나라 배전선로인 22.9kV Y결선 다중접지계통에서 사용하는 배전선로용 피뢰기(LA)의 정격전압은 18kV입니다.

    이것은 규정으로 정해진 값으로, 반드시 암기해야 할 중요한 수치입니다.

    이 값이 선정된 이유는, 22.9kV 다중접지계통에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비접지 계통보다 낮게 억제됩니다. 18kV라는 정격전압은 이러한 계통 특성을 고려하여, 평상시 및 사고 시의 전압 상승에는 견디면서 뇌서지와 같은 이상전압은 안전하게 대지로 방전시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값으로 표준화된 것입니다.

    (참고: 동일한 22.9kV 계통이라도 변전소에 사용하는 피뢰기는 21kV를 선정합니다. 문제에서 '배전선로'인지 '변전소'인지에 따라 구분해야 합니다.)


     

    3. 변류비(CT비) 산정 시 200V

    문제에서 200V로 체강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200은 변류기가 설치된 지점의 전압입니다. 

     

    4. 문제와 같이 질문하시거나, 두가지를 비교하여 올리시고 질문해주세요.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로는 정확한 답을 할 수 없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