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실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이론+20개년+블랙박스+마인드맵) > 이승원
글쓴이 김*호 등록일 2025.09.05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오는 11.8 실기시험 응시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공학용 계산기 사용시, 강의 내용대로 콤플렉스 모드 설정후, 시프트 모드 2, 3 눌러서 극형식으로 놓고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를 이것저것 풀다가 보니 제게 혼선이 좀 생겼습니다.

    뭐냐면, 어떤 때는 극형식 결과로 답을 쓰고, 어떤때는 시프드 모드 2. 4를 눌러서 복소수 형태의 답을 써야 되는지

    명확한 기준을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학습관리자 |(2025.09.05 11:02)

    안녕하세요~~ 회원님^^

    계산결과값은 대부분 절대값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극형식 모드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문제에서 주어지는 조건이 복소수일 때에는 복소수 모드로 전환해서 풀이를 전개하셔야 합니다~ 예를들면 저항접지방식에서 지락전류를 구할 때 부하는 유도부하로서 지역률 조건이 주어질 것이고, 이 때 저항접지인 경우 지락전류는 저항에 의한 유효분(실수)으로 지락선에 흐르는 전체전류는 지락전류(실수)와 부하전류(실수와 허수인 복소수)의 합으로 계산하여야 하니 이 때에는 극형식 값으로 바로 더하게 되면 오답처리 됩니다~

    따라서 문제 조건에 의해서 복소수를 전개하셔야 하는데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내용일거라 생각됩니다~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시고 복소수로 전개하는 문제들만 따로 정리하셔서 익히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리지느 않을거예요~

    나머지는 모두 극형식 모두로 절대값을 답으로 적으시면 되겠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