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회원님^^
계산결과값은 대부분 절대값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극형식 모드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만, 문제에서 주어지는 조건이 복소수일 때에는 복소수 모드로 전환해서 풀이를 전개하셔야 합니다~ 예를들면 저항접지방식에서 지락전류를 구할 때 부하는 유도부하로서 지역률 조건이 주어질 것이고, 이 때 저항접지인 경우 지락전류는 저항에 의한 유효분(실수)으로 지락선에 흐르는 전체전류는 지락전류(실수)와 부하전류(실수와 허수인 복소수)의 합으로 계산하여야 하니 이 때에는 극형식 값으로 바로 더하게 되면 오답처리 됩니다~
따라서 문제 조건에 의해서 복소수를 전개하셔야 하는데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에게는 매우 어려운 내용일거라 생각됩니다~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시고 복소수로 전개하는 문제들만 따로 정리하셔서 익히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리지느 않을거예요~
나머지는 모두 극형식 모두로 절대값을 답으로 적으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