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2025년 1회 13번 문제 질문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실기 20개년 기출문제 > 김대호
글쓴이 전*관 등록일 2025.09.07 답변상태 답변완료
  • 13번 문제 풀이에서 단위 관련 착오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질량의 단위가 [kg/s]라는 한것과 질량을 계산할 때 16.5가 거리 16.5 [m]가 아니라 속도 [16.5m/s]라고 한 것에 대한 문제 제기입니다.

    (1/2) * (질량) * (속도) 제곱 은 질량을 가진 물체가 어떤 속도로 이동할 때, 그 물체가 가지는 운동 에너지에 관한 식이고, 질량이 직접 주어지지 않아서 계산으로 찾아내어서 풀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질량[kg] = 밀도[kg/m3] * 부피[m3] = 밀도[kg/m3] * 면적 [m2] * 길이[m] 이므로

    1.22[kg/m3] * 3.14*(31/2)제곱 [m2] * 16.5 [m]로 계산 하면,

    분모의 [m3]과 분자의 [m3]이 약분되고, 남는 것은 [kg] 뿐이므로 이는 질량의 단위와 일치합니다. 그래서, 질량*(속도)제곱의 단위와도 최종적으로 일치하게 될 것입니다.

    문제풀이에서 16.5[m]를 16.5 [m/s]로 해석하여, 속도의 삼성이라는 표현이 나왔으며, 질량의 단위가 [kg]이 아닌 [kg/s]라는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공기가 1초에 16.5m를 이동하므로 부피 구하는 식에서 거리 16.5[m]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므로, 16.5 라는 숫자 자체는 맞지만, 16.5 를 인용하면서 문제에서 주어진 16.5 [m/s] 를 그대로 인용하는 것은 좀 착오가 있으신것이 아닌지요.

  • 김대호 |(2025.09.07 22:32)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출제년도를 2025년으로 표기해서 찾는데 한참 걸렸습니다. 가급적 출제년도나 문제를 정확히 업로드 하고 질문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풍력 발전기 출력 계산 문제의 풀이 과정에서 사용된 단위와 공식 유도에 대해 아주 예리하고 중요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지적해주신 내용이 정확하며, 에너지와 전력의 개념을 명확히 하는 좋은 기회입니다.

     

    질문 요약

     

    풍력 발전기 출력 계산 시 운동에너지 공식 E = (1/2)mv^2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질량(m)의 단위가 [kg]이 아닌 [kg/s]**으로 사용되고, 이로 인해 최종 공식에 속도(v)의 세제곱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한 문의입니다.


     

    답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문제 풀이의 최종 계산식과 답은 맞지만, 중간 설명에서 사용된 변수 m의 정의가 '질량'이 아닌 **'질량 유량(mass flow rate)'**으로 이해되어야 정확합니다. 수험생께서 지적하신 대로 운동에너지 공식과 질량의 단위에 대한 이해는 완벽히 맞습니다. 이 부분을 명확히 구분하여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에너지(E)와 전력(P)의 차이

     

    • 운동에너지(E): 질량 m[kg]을 가진 물체가 속도 v[m/s]로 움직일 때 가지는 에너지입니다.

      • E = (1/2) * m * v^2 [J]

    • 전력(P):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풍력 에너지 [kW] 입니다. 단위가 [kW], 즉 [kJ/s]이므로 이는 단위 시간당 에너지를 의미하는 **전력(Power)**을 구하라는 의미입니다.

      • P = E / t = 에너지 / 시간 [J/s = W]

     

    2. 풍력 발전기 출력(전력) 공식 유도

     

    풍력 발전기는 정지해 있는 공기 덩어리의 에너지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초당 얼마만큼의 공기가 가진 운동에너지가 터빈을 통과하는지를 계산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전력(Power)입니다.

    1. 전력(P)은 단위 시간당 에너지이므로 운동에너지 공식을 시간에 대한 개념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P = (1/2) * (m/t) * v^2 [W]

    2. 여기서 m/t 는 '단위 시간(초)당 터빈을 통과하는 공기의 질량', 즉 **질량 유량(mass flow rate)**이며 단위는 **[kg/s]**가 됩니다. 문제 풀이의 [핵심] 부분에서 m을 '질량'이라고 표기하고 단위를 [kg/s]로 적어 혼동을 유발한 것입니다. 정확히는 '질량 유량'입니다.

    3. 질량 유량(m/t)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 질량 유량 [kg/s] = 공기 밀도(ρ) [kg/m³] × 초당 통과 부피 [m³/s]

      • 초당 통과 부피 [m³/s] = 로터의 단면적(A) [m²] × 풍속(v) [m/s]

      • 따라서, m/t = ρ * A * v 입니다.

    4. 이 질량 유량(ρ * A * v)을 위의 전력(P) 식에 대입하면 최종 공식이 완성됩니다.

      • P = (1/2) * (ρ * A * v) * v^2 = (1/2) * ρ * A * v^3 [W]

    이와 같이, **전력(Power)**을 구하는 과정에서 질량 유량 개념이 도입되기 때문에 최종 공식에 **속도의 세제곱(v^3)**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수험생께서 "공기가 1초에 16.5m를 이동하므로 부피 구하는 식에서 거리 16.5[m]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신 추론은 정확히 질량 유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일치합니다.

     

    이처럼 공식의 단순 암기를 넘어 그 유도 과정과 각 변수의 물리적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려는 학습 태도는 매우 훌륭하며 합격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수험생의 노고와 노력에 격려를 보내며, 앞으로의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최종 합격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화이팅입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