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무접점 시퀀스, 로직 시퀀스 명칭 관련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실기 완전학습 프로그램(이론+20개년+블랙박스+마인드맵) > 김대호
글쓴이 등록일 2025.10.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질문1) 24번에서는 무접접 시퀀스도 논리회로=무접점 시퀀스도=로직 시퀀스도를 그리는 문제인데, 정답은 논리회로가 그려져 있습니다.

    25번 문제에서는 '로직 시퀀스' 회로 그리는 문제인데, 논리회로 그림이 정답입니다.

     

    2018년 1회 문제에서는 '유접점식 시퀀스 회로를 무접점 시퀀스 회로'로 그리는 문제인데, 정답은 [무접점 회로+시퀀스 회로] 그림입니다.

     

    2018년도 1회 문제만 유형 문제라고 생각하고, 유접점식 시퀀스를 무접점 시퀀스로 바꾸는 문제에서만, [무접점 회로+시퀀스 회로]로 정답을 그리고, 유->무로 바꾸는 문제가 아니라, 단순히 그냥 '무접점 시퀀스 회로'를 그려라! 고 문제에서는  단순히 논리회로만 그리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도' 글자 차이인가요? 24번 문제는 [무접점 시퀀스도] 이고, 2018년 1회 기출문제는 [무접점 시퀀스] 입니다.

    '도' 한글자 차이인데 의미가 달라질수 있나요?

    근데 이건 말이 안되는 게, 24번 소문제 (3)번은 [로직 시퀀스도]이고, 25번 소문제 (1) 문제는 [로직 시퀀스]입니다.

    정답은 둘다 단순 논리회로만 그려져 있습니다.

     

    아니면 18년도 1회 이 1문제만 특수한 문제, 유접점식 시퀀스를 무접점 시퀀스로 바꾸는 문제에서는

    정답을 '무접점회로+ 시퀀스 회로(유접점 회로 )' 라고 생각하고, 문제 조건에서 '무접접 시퀀스도 논리회로=무접점 시퀀스=무접점 시퀀스도=로직 시퀀스=로직 시퀀스도 = 무접점 회로 = 논리회로 단어(명칭)가 나오면 그냥 논리회로를 정답으로 그리면 되나요?

     

    '무접접 시퀀스 회로' 그리는 문제에서 정답을 단순 논리회로로 그려야 하는지, 아니면 '무접접 회로(논리회로) + 시퀀스 회로(유접점 회로)'로 그려야 하는지 구분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질문2 ) NAND 게이트와 NOR 게이트는 '유접점 회로=유접점 시퀀스=시퀀스 회로=릴레이 회로=릴레이 시퀀스' 그림으로는 못 그리는 거죠? 오직 논리회로로만 그릴 수있죠?

     

     

     

     

  • 김대호 |(2025.10.26 16:00)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무접점 시퀀스', '논리회로', '로직 시퀀스' 용어 정리

    결론적으로, 현재 전기기사 실기 시험의 채점 기준상 '무접점 시퀀스도', '논리회로', '로직 시퀀스'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세 용어 모두 AND, OR, NOT과 같은 논리 게이트 기호를 사용하여 회로를 표현하라는 요구사항입니다. 따라서 어떤 용어로 문제가 출제되더라도 논리 게이트로 회로를 그리면 정답으로 인정됩니다.

     

    유접점(有接點) 시퀀스: 물리적인 접점(a접점, b접점)을 가진 **릴레이(계전기)**를 이용하여 구성한 회로입니다. '릴레이 시퀀스'라고도 합니다.

     

    무접점(無接點) 시퀀스: 릴레이의 기계적 접점 대신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논리 회로를 의미합니다. 이 회로를 논리 기호로 표현한 것이 바로 **논리회로(Logic Circuit)**입니다.

    로직 시퀀스: 논리회로와 완전히 같은 의미입니다.

     

    **"유접점 회로를 무접점 회로로 바꾸시오"**와 같은 문제의 정답은, 주어진 릴레이 회로의 동작을 해석하여 동일한 기능을 하는 논리회로를 그리는 것입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최종 결과물인 논리회로도만 답안지에 작성하면 됩니다.

     

    단, 18년도 1회 문제는 로직으로만 그릴 경우 입력부분이 생략되면 동작이 안되므로 입력부분 때문에 점점이 그려진것입니다 출력 pl과 같이 생각하면 됩니다.

     

     

     

    NAND 및 NOR 게이트 표현 방식

    NAND 게이트와 NOR 게이트는 본질적으로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무접점' 논리 소자입니다.

    따라서 이 게이트들은 반드시 논리 게이트 기호를 사용하여 그려야 합니다. 유접점 릴레이 시퀀스로는 AND(직렬), OR(병렬)의 기본 논리는 표현할 수 있지만, NAND나 NOR의 복합 논리를 단일 릴레이 기호로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문제에서 "NAND 게이트만으로 그리시오" 또는 "NOR 게이트만으로 그리시오"라고 요구하는 것은 명백히 논리회로로 답안을 작성하라는 의미입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