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시퀀스 열동계전기 적용 여부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실기 20개년 기출문제 > 김대호
글쓴이 심*덕 등록일 2025.10.24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19년도 1회차 12번문제입니다.

    위 사진처럼 문제에서 열동계전기가 있을때 열동계전기를 답안 옆 회로도처럼 추가하면 오답으로 될까요?

  • 김대호 |(2025.10.26 16:06)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2019년 1회차 실기 12번 문제에서, 문제에 제시된 논리회로를 유접점 시퀀스 회로로 변환할 때, 주회로도에 보이는 열동계전기(THR)의 접점을 제어회로에 추가해도 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채점자 관점 답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오답으로 처리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채점은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을 정확히 충족했는지를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문제의 핵심 요구사항은 주어진 '논리회로도'를 보고 그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유접점 시퀀스 회로'를 완성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논리식 분석 문제에 주어진 논리회로를 논리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C = (PB₁ + MC) · PB₂' (PB₁ 또는 MC의 자기유지 접점이 ON이고, PB₂가 OFF일 때 MC가 동작)

    RL = MC

    GL = MC’

     

    채점의 핵심 기준: 논리회로와의 등가성 채점자는 수험생이 작성한 유접점 회로가 위 논리식과 완벽하게 동일한 기능을 하는지를 확인합니다.

    위 논리식에는 THR이라는 입력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어회로에 THR의 b접점을 추가하는 것은 문제에서 제시하지 않은 조건을 임의로 추가한 것이 됩니다.

     

    물론, 실제 전동기 제어 회로에서는 과부하 보호를 위해 제어회로에 THR의 b접점을 직렬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안전을 위한 필수 설계입니다. 문제의 주회로도에 THR이 그려진 것도 이러한 일반적인 전동기 회로임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의 출제 의도는 '실제적인 전동기 회로 설계'가 아니라 '논리회로를 유접점 회로로 정확히 변환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수험자 유의사항 적용 전기기사 실기 시험의 수험자 유의사항에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가지수(항수) 이상을 답란에 표기한 경우 ... 오답으로 처리"될 수 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요구하지 않은 불필요한 내용을 추가했을 때 오답 처리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THR 접점 추가는 여기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록 실무적으로는 THR 접점을 포함하는 것이 맞지만, 시험 문제풀이 관점에서는 주어진 논리회로에 없는 THR 접점을 제어회로에 추가하면 오답입니다. 제공된 모범 답안에서도 THR 접점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