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1) A, C그리고 X 앞에 접속점을 표시 하지 않고, 점선으로 구획하면 오답인가요?
문제에서도 A, C, X앞에 접속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질문2) 교재 정답과 다르게 포스트잇 그림처럼 점선을 위, 아래로 길게 표시하고, 접속점 (A, C, X앞)은 표시를 안했습니다.
이렇게 답을 작성해도 정답이 될 수 있나요?
교재 정답은 접속점 A, C 그리고 X앞 기준으로 아래에만 점선이 있습니다.

질문3) 만약 접속점을 표시해야 정답이라면, 문자 알파벳에 접속점을 표시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문자 A,B,C, C바, D, X를 이용하는 문제라고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자 A, B는 입력회로와 제어회로를 구분하는 구간이라서 접속점을 표시하는 게 이해가 됩니다.
그래서 문자 A, B에 접속점을 표시하고, 점선을 A, B 기준 아래로 표시합니다.
제어회로와 출력회로를 구분할때는 왜 문자 X에 표시하지 않고 X 앞 전선에 접속점을 표시하고, 점선을 표시해서 구분을 짓나요?


질문 4) 논리식이 X=(BS2+X)•BS1바 입니다. 이때 접속점 X가 제어회로 출력의 X입니다.
그렇다면 X는 출력회로에 포함되어야 하는 게 아닌가요?
교재 정답처럼 제어회로가 접속점 X까지 포함인 이유는 접속점 X는 제어회로의 출력이고, 출력회로의 출력 혹은 출력회로의 입력이 아니기 때문인가요?
그래서 제어회로의 출력인 접속점 X에 점선을 표시하지 않고, X앞에 점선을 표시해서 제어회로와 출력회로를 구분하는 건가요?
-
김대호 |(2025.10.27 00:12)
질문1) A, C그리고 X 앞에 접속점을 표시 하지 않고, 점선으로 구획하면 오답인가요?
문제에서도 A, C, X앞에 접속점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답) 수험생이 첨부한 답지처럼 점선으로 구분하면 됩니다.
질문2) 교재 정답과 다르게 포스트잇 그림처럼 점선을 위, 아래로 길게 표시하고, 접속점 (A, C, X앞)은 표시를 안했습니다.
이렇게 답을 작성해도 정답이 될 수 있나요?
교재 정답은 접속점 A, C 그리고 X앞 기준으로 아래에만 점선이 있습니다.
답) 점은 문제에서 각점을 표시한것이므로 수험생이 찍는 것 아닙니다. 이미 찍어진 것이며, ABC로 각점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문제를 파악하셔야 합니다.
답은 답지에 선으로 구분하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