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계기용 변류기 그냥 변류기 정격부담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산업기사실기 20개년 기출문제 > 김대호
글쓴이 유*환 등록일 2025.10.27 답변상태 답변완료
  • 계기용 변류기 그냥 변류기 정격부담 둘다 

    변류기 2차측에 접속하는 부하임피던스 맞아요?

  • 김대호 |(2025.10.27 16:10)

    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질문 요약: '계기용 변류기 정격부담'과 '변류기 정격부담'이 모두 '변류기 2차측에 접속하는 부하 임피던스'를 의미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정격 부담(Rated Burden)의 정확한 의미

    계기용 변류기와 일반 변류기에서 말하는 **정격 부담(Rated Burden)**은 모두 **"변류기 2차측 회로에 접속되는 부하의 임피던스"**를 의미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조금 더 정확하고 시험 답안에 적합한 표현으로 다듬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정격 부담의 정의

    "변류기 2차측 단자에 접속되는 부하가 소비하는 피상전력(VA)"

    정격 부담은 변류기가 2차측 정격전류(일반적으로 5A)를 흘릴 때, 2차 회로에 연결된 부하(전류계, 계전기, 케이블 등)에서 소비되는 총 피상전력을 의미합니다.

     

    단위는 **VA (볼트암페어)**를 사용합니다.

    즉, 변류기가 2차측에 연결된 부하들을 정상적으로 구동하면서도 정해진 오차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 용량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격 값입니다.

     

    1. 임피던스와의 관계

    질문에서 언급하신 '임피던스'와 '정격 부담'은 다음과 같은 관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P = V × I = (I × Z) × I = I² × Z

     

    위 식에서,

    P: 피상전력 (VA) → 정격 부담

    I: 2차 정격전류 (A)

    Z: 2차측 부하의 총 임피던스 (Ω)

    따라서 정격 부담(VA)은 2차측 부하의 임피던스(Ω)에 2차 정격전류의 제곱을 곱한 값과 같습니다. 부담(VA) = (2차 정격전류)² × 임피던스(Ω) 이므로, 부담은 임피던스에 비례합니다.

     

    이 때문에 실무나 이론 설명에서 '정격 부담'을 '2차측 부하 임피던스'라고 표현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기기사 실기 시험 답안을 작성할 때는 **"변류기 2차측 부하가 소비하는 피상전력(VA)"**이라고 정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 '계기용 변류기'와 '변류기'의 구분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는 기기를 총칭합니다.

     

    계기용 변류기: 변류기 중에서 특히 계측기(전류계, 전력량계 등)나 보호계전기에 정밀한 전류를 공급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변류기를 의미합니다.

     

    결론적으로, '계기용'이라는 수식어는 변류기의 여러 용도 중 하나를 특정하는 것일 뿐, '정격 부담'이라는 용어 자체의 의미는 다르지 않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