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김대호교수 입니다.
질문 요약: '계기용 변류기 정격부담'과 '변류기 정격부담'이 모두 '변류기 2차측에 접속하는 부하 임피던스'를 의미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정격 부담(Rated Burden)의 정확한 의미
계기용 변류기와 일반 변류기에서 말하는 **정격 부담(Rated Burden)**은 모두 **"변류기 2차측 회로에 접속되는 부하의 임피던스"**를 의미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조금 더 정확하고 시험 답안에 적합한 표현으로 다듬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정격 부담의 정의
"변류기 2차측 단자에 접속되는 부하가 소비하는 피상전력(VA)"
정격 부담은 변류기가 2차측 정격전류(일반적으로 5A)를 흘릴 때, 2차 회로에 연결된 부하(전류계, 계전기, 케이블 등)에서 소비되는 총 피상전력을 의미합니다.
단위는 **VA (볼트암페어)**를 사용합니다.
즉, 변류기가 2차측에 연결된 부하들을 정상적으로 구동하면서도 정해진 오차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 용량을 나타내는 중요한 정격 값입니다.
- 임피던스와의 관계
질문에서 언급하신 '임피던스'와 '정격 부담'은 다음과 같은 관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P = V × I = (I × Z) × I = I² × Z
위 식에서,
P: 피상전력 (VA) → 정격 부담
I: 2차 정격전류 (A)
Z: 2차측 부하의 총 임피던스 (Ω)
따라서 정격 부담(VA)은 2차측 부하의 임피던스(Ω)에 2차 정격전류의 제곱을 곱한 값과 같습니다. 부담(VA) = (2차 정격전류)² × 임피던스(Ω) 이므로, 부담은 임피던스에 비례합니다.
이 때문에 실무나 이론 설명에서 '정격 부담'을 '2차측 부하 임피던스'라고 표현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기기사 실기 시험 답안을 작성할 때는 **"변류기 2차측 부하가 소비하는 피상전력(VA)"**이라고 정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계기용 변류기'와 '변류기'의 구분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는 기기를 총칭합니다.
계기용 변류기: 변류기 중에서 특히 계측기(전류계, 전력량계 등)나 보호계전기에 정밀한 전류를 공급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변류기를 의미합니다.
결론적으로, '계기용'이라는 수식어는 변류기의 여러 용도 중 하나를 특정하는 것일 뿐, '정격 부담'이라는 용어 자체의 의미는 다르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