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답변이 안달려 한번더 올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실기 블랙박스 특강_시퀀스 및 PLC > 윤홍준
글쓴이 서*주 등록일 2019.01.09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2012년 2회에 7번 (교재 2권 542페이지)문제에서

    NCS와 NVS 정의에서 궁금한게 생겨질문남깁니다

    NCS에서는 콘덴서 고장시 라고 되어있고

    NVS에서는 콘덴서 소자의 절연파괴시 라고 되어있는데

     

    둘다 결국에 콘덴서 고장시 라는 의미 아닌가요..

    굳이 저렇게 정의를 나눠적어야 정답처리되는 부분인가요?

    아니면 NCS는 NVS를 포함한 고장을 뜻하는 건가요?ㅠ

     

    2.

     

    2012년 2회 14번 (교재 2권 549페이지)에서 공식 자체가 의문입니다,..

    단락용량 Ps는 루트3 * 정격전압 * 단락전류 로 알고있는데

    왜 공칭전압을 대입하는건가요???

    교재 1권에 211페이지에도 Ps는 루트3 * 정격전압 * 단락전류

    라고 돼있는데 말이죠 ㅠㅠ

    정격전압인 7200이 아닌 6600이 들어간 이유가 너무나 궁금합니다,,,

     

    3.

     

    2018년 2회 3번에 (4)에 PT에서 결선이 V결선 이라고 하셨는데

    어떻게 도면으로 v결선임을 알수있나요??

    66/6.6kv 변압기에 pt가 있으면 전부 v결선 이라고 보는건가요

     

    어떻게 v결선임을 알수있는지 궁금합니다

  • 학습관리자 |(2019.01.10 11:25)

    안녕하세요?^^  윤홍준 강사입니다.

     

    1. 두가지는 전류인지 전압인지에 관한 검출방식 문제이므로 상관없으십니다.

    2. 해당부분은 많은 수험생분들이 혼동하시는 부분입니다.

        차단기의용량을 선정할 때 일반적으로 단락용량을 구한값보다 큰

        120~160%를 선정하여 차단기를 선정합니다.

        그렇다면 용량선정시 단락전류와 차단전류와의 관계를 명확히 알아야합니다.

        차단을 하는 전류값을 구할 때 차단전류는 단락전류보다 무조건 같거나 큰

        값을 선정하셔야 그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는 이론이 명확하셔야합니다.

        차단전류는 차단할 수 있는 전류이며 단락전류는 단락사고시 흐르는 전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격차단전류를 구하라는 문제의 경우 당연히

        둘중 값이 큰 단락전류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하므로 V값에 공칭전압인 6600

        을 넣어주셔야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간혹 차단기 표준용량을 구할 때

        각종 교재에서 정격과 공칭을 혼용하여 쓰는 이유는 그만큼 여유가 있기 때문에

        실제 차단기 선정시에는 크게 문제삼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번 문제의 경우 정확히 차단전류 값을 요구하였기에 정격을 넣은 차단

        값이 아닌 공칭을 넣은 단락 값으로 산정해주시면 됩니다.

    3. 도면에서 PT에 V   V라는 표시가 있습니다. 그 표시를 보고 V를 알 수 있습니

        다.

     

    감사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