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 사진에도 있다시피 실미분정리를 하면 s와 라플라스변환된 f(t)의 함수, 초기값 f(0)로만 나타나 집니다. 하지만 상태방정식에서 상태벡터 x(t)를 실미분정리를 활용하여 라플라스 변환을 했다고 설명하셨는데, 저는 아무리 찾아봐도 I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갑자기 sX(s) 사이에 I가 왜 있는지 궁금합니다.
2. 설명해주실때, 입력함수 X(s) -> Y(S)로 나타내실 때, D*U(s)를 C와 함께 묶으셨는데, 오류가 아닌가 해서 여쭤봅니다.
[{C(SI-A)^-1*B}+D]U(s) = Y(s) 이렇게 되어야 맞지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