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20번 문제에서 '비접지 선로의 접지전압'을 검출한다.라고 적혀있고,
(2) 문제에서는 1선 지락 사고시 건전상 사고가 안 난 상의 '대지 전위 변화'를 간단히 설명하시오.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석할 때 '비접지 선로의 접지전압'='2차측 오픈 델타 결선의 대지 전압'= '110/√ 3'.
'접지 선로의 접지전압'='1차측 Y결선의 대지 전압'=6600v/√ 3 혹은 3300v/√ 3.
이렇게 해석하는 게 맞나요?
대지전압의 형태가 결선의 상관없이 '선간전압/√ 3' 의 형태라서 GPT의 1차측 전압과 2차측 전압이 모두 대지전압 형태라서 저는 이렇게 해석을 했는데 확신이 들지 않아서 질문을 드립니다.

2. 이 문제를 풀 때 영상전압 공식을 사용하지 않고, 21번 문제에서 영상전압계의 영상전압을 구하는 것 처럼
간단하게 구해도 괜찮나요?
즉 22번의 변압비에서 제공하는 2차측 대지전압 110/√3만을 이용해서
계산과정: (110/√3)x3=110x√3=190.53[v]
정답: 190.53[v]
이렇게 풀어도 정답처리가 될까요?

3. 접지 전압과 영상 전압은 다른 전압이죠?
접지전압은 Y결선, 오픈 델타 결선에 있는 6600/√3 과 110/√3 이런 대지 전압들이고,
영상전압은 개방단자 3V0의 전압인 190.53 [V] 이런 전압인거죠?
문제를 풀 때 GPT의 접지 전압을 구하시오, 영상 전압을 구하시오.가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접지 전압: 노란색 박스 Y 결선, 빨간색 박스 오픈 델타 결선의 대지 전압.
영상 전압: 보라색 박스 개방 단자 3V0 전압. 맞나요?
4. DGR의 명칭을 쓸 때 방향 지락 계전기라고 써도 정답이 되나요?
D의 의미가 Directinal 방향을 의미하는 단어라서, DGR의 약자 순서대로 명칭을 D: 방향, G: 지락, R: 계전기='방향 지락 계전기'로 암기하고 있는데,
인터넷 사전으로 단어를 검색을 해보니까 지락 방향 계전기, 방향성 지락 계전기로만 나오고, 방향 지락 계전기는 안 나와서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