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기기사 산업기사

전체메뉴
전기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전기(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전기기기 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전기기사필기 5주완성 종합반 > 이승원
글쓴이 이*형 등록일 2024.05.2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전기기기 몇가지 궁금한 것이 있어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1) 교류기중 동기기과 유도기의 차이점은 무엇인지요?
    1차 입력 전원을 고정자권선으로 하는 것이 유도기이고, 전원입력을 계자(회전자)로 주는 것이 동기기인가요?
    전반적으로 비슷 비슷한거 같아서 헷갈린데요, 두 기기의 구조적인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2) 단상변압기_무유도 전부하의 의미는 cosΘ=1을 의미?
    단상변압기의 무유도 전부하에 있어서....라는 문제(교재 109쪽, #46번)의 무유도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풀이를 보면  역률(cosΘ=1)이 1인 경우로 하여 계산을 진행 해 나갔는데,무유도라는 의미는 역률=1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3) 전기기기_단상변압기 4대로 낼수 있는 3상 최대출력 용량?
    전기기기_단상변압기 4대로 낼수 있는 3상 최대출력 용량을 묻는 문제(교제 111쪽, #60번)중에서,
    V-결선이라는 표현이 제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4대로 낼 수 있는 3상 최대 출력은 V결선 밖에는 가능하지 않은 것인지요?

     

    4) 전기 기기_문제 오답 여부 확인 문의 드립니다.
    전기기기 교재 113쪽(문제 71번)  변압기 결선문제 중 전압계의 지시(V)를 묻는 문제중,
    풀이(전압계 지시=100V)와 답(300V)이 서로 상반되오니, 확인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5)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발전기(알터네이터)의 종류는 무엇인지요?
    동기기 or  유도기 아니면 직류기 인지요?

     

    6) 3상 유도전압조정기 문제 중 별도 설명없으면 용량은 정격(자기/조정)용량을 의미?
    3상 유도전압조정기 문제 중(교과서 136쪽, 유사문제 #08), 용량값이 제시되는데

    이는 별도로 설명없으면 용량은 정격(자기/조정)용량을 의미하는 지요? 아니면 부하/선로/출력 용량을 의미하는 지요?

     

    7) 유도전동기_운전중 2차 유기 기전력, E2s=sE1 or sE2가 맞는지요?
    교과서 121쪽에서는 E2s=sE2로 표기,
    그러나, 133쪽 유사문제 01에서의 문제 풀이는 E2s=sE1 으로 표기함.

     

    질문이 너무 많아 죄송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학습관리자 |(2024.05.23 10:56)

    안녕하세요~~ 회원님^^

    열심히 공부하고 계시는 것 같아서 흐뭇합니다~~ ㅎㅎㅎ

    1. 동기기와 유도기의 차이는 슬립이 있고 없고의 차이입니다. 동기기는 직류기와 같이 자속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 기전력이 발새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인데 단지 전기자를 고정자로 두고 계자를 회전자로 사용한다는 것이 직류기와 다른 점이며 또한 직류기는 발생된 교류 기전력을 정류자를 통해 직류로 바꿔주는 기기인 반면 동기기는 교류 기전력을 직접 사용한다는 것이 다릅니다. 여기서 유도기는 1차가 고정자인데 고정자로 유입되는 기전력은 동기발전기에서 공급되는 동기속도를 그대로 사용하지만 회전자가 슬립에 의해 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2차 회전자의 속도를 따로 슬립을 이용해서 적용하는 것이 다른 점입니다.

    2. 교류 소자 중 L, C는 각각 유도성, 용량성이란 이름을 붙여 주는데 모든 전기회로는 R, L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회로이기 때문에 부하가 무유도 부하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R만으로 이루어진 부하란 의미입니다. 따라서 R만의 회로의 역률은 1이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무유도 부하의 역률은 1로 적용하셔야 합니다.

    3. 변압2기 결선에 있어서 3상 결선은 변압기 3대를 이용하는 Y결선과 델타 결선 2가로 이용되며 2대를 이용한 V결선이 또하나의 결선이란 것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따라서 변압기 4대로 3상 운전을 하기 위해서는 V결선으로 2뱅크 운전밖에 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4. 변압기의 1, 2차 권선의 감는 방향이 감극성이기 때문에 1차 전압과 2차 전압의 차로 계산한 교재의 답이 정답입니다.

    5. 자동차에 사용되는 엔진발전기는 교류발전기로 소형의 동기 발전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자동차의 모든 부하는 직류 부하로 이루어져 있어서 정류기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어 각 부하에 전달되어 사용됩니다.

    6. 유도전압조정기에서 별도로 조건이 없는 용량이란 의미는 자기용량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7. 유도기의 1차 고정자 권선의 전압 E1과 2차 회전자 권선의 전압 E2는 1, 2차 권선비가 같을 때 서로 같은 크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권수비 N=E1/E2 란 공식으로 적용하고 있어서 권선비와 권선계수가 따로 주어지지 않는다면 1, 2차 유기기전력은 서로 같다고 해석하셔도 되기 때문에 E1=E2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기 기원합니다~

목록

위로